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정의

  • 시장현황

    시장 동향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 시장 규모는 2020년 205억 1,600만 달러(약 23조 6,241억 원)로 추산되며 2026년까지 405억 5,000만 달러(약 46조 6,933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 빅데이터 산업의 발전 및 중요한 사업 결정을 단기간에 내려야 하는 상황들이 증가함에 따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및 분석 도구 관련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SW 산업에서는 현재 블록체인을 활용한 B2B 거래의 상용화, 지능형 봇 클라우드 서비스, AI를 통한 앱 인터페이싱, 고도 자동화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자체 조정 및 관리 능력을 갖춰가는 소프트웨어와 시스템 등의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음
    서비스 동향
      ▪ 2021년 Panorama Consulting은 기업의 53%는 클라우드 ERP를, 47%는 온프레미스 ERP를 도입했다고 밝힘

      ▪ CRM 소프트웨어 시장과 ERP 소프트웨어 시장 모두 2023년까지 꾸준히 성장할 전망임. CRM 소프트웨어 공급 시장에서는 세일즈포스, 어도비. 오라클이, ERP 소프트웨어 공급 시장에서는 SAP, 오라클, 인튜이트가 시장 점유율 상위 기업임

      ▪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기업용솔루션을 클라우드 ERP로 전환하고 자동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음. 오라클은 2018년 ‘Oracle Cloud ERP’에 DB 자동화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추가하겠다고 밝힘. 마이크로소프트 및 SAP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수익구조가 개선되는 등 클라우드 ERP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음
       
      ▪ IDC에 따르면 클라우드 ERP 시장이 2020년부터 2027년까지 연간 11.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 2020년 세일즈포스(Salesforce), 클라우드 기반 기업용 메신저 Slack 인수하여 MS와 직접 경쟁할 것이라고 발표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세계 최대 컴퓨터, SW 회사 중 하나로서, PC 및 서버 OS,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DB 관리 시스템, 소셜 네트워크, 디지털 가전, 비디오 게임 콘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사업 분야를 운영 중
       - 주요 SW 제품으로는 클라이언트 SW로서 Windows(OS), Office(사무용 프로그램), Visual Studio(통합개발 환경), Azure(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Microsoft 365(온라인 구독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프로그램), 닷넷 프레임워크(윈도우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환경), SQL 서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NuGet(닷넷 프레임워크의 오픈소스 패키지 매니저) 등이 있음
       - 2020년 회사 총 매출액 1,430억 달러 기록
       
      ▪ 오라클(Oracle)은 개발과 마케팅 등 기업용 SW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서 특히 DB관리 시스템 분야에서 최고 수준을 자랑
       - 2020년 회사 총 매출액 391억 달러를 기록
       
      ▪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은 창립 이래 컴퓨터 및 서버(하드웨어)를 발판으로 성장해   현재는 SW와 기술 컨설팅/서비스로 무게 중심을 옮기고 있음
       - IBM의 SW 사업부문에는 ▲왓슨 기반 SW ▲Cognos, SPSS(비즈니스 분석) ▲Tivoli, Maximo, Netcool, TRIRIGA(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인프라 관리) ▲DB2, Infomix, InfoSphere(데이터 관리) ▲Lotus(협업) ▲IBM 스펙트럼AI(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돕는 새로운 통합 솔루션)등의 다양한 브랜드가 존재
    표준화 동향
      ▪ GS인증은 국산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증명하는 국가 인증제도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는 전 분야 SW,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에서는 정보보호SW, 시스템관리SW, 기업관리SW, 산업용SW 및 임베디드SW에 대한 인증업무를 수행함

      ▪ CMMI 인증은 카네기멜론대학 SW 공학연구소와 산업계가 개발 및 보급하는 품질 관리 인증으로 SW와 시스템 기술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통합모델로서 소프트웨어 품질, 시스템 구축, 운용 및 프로세스 성숙도, 수행능력 등 시스템 전반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 ISO 25000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품질평가 통합모델 국제 표준으로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과 평가를 위한 측정기업, 평가 방안 등에 대한 표준을 정함

    진출현황

      ▪ 국내 ICT 산업 중 소프트웨어(SW) 비중은 전체의 11.4%로 선진국에 비해 비중이 매우 낮음. 미국, 영국, 독일 등 ICT 기술 선진국에서 소프트웨어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45%임. IDC에 따르면 2021년 국내 SW 시장 규모(최종 수요자 소프트웨어 지출액 기준)는 약 29조원으로, 게임SW 13.8조, IT 서비스 9.4조, 패키지SW 5.8조원으로 구성됨

      ▪ 국내 주요 SW기업으로는 한글과컴퓨터, 더존비즈온, 티맥스소프트, 투비소프트, 인프라웨어, 엑셈, 알서포트, 포시에스 등이 있음. 티맥스소프트는 미국, 브라질, 영국, 일본 등 총 18개국에 진출하여 전략적 제휴를 통한 파트너 중심의 해외사업 체제를 추진하고 있음. 2019년 더존비즈온은 아마존웹서비스(AWS)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위하고(WEHAGO) 플랫폼 글로벌 확장을 위한 협력을 시작함

      ▪ 국내 SW 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글로벌 소프트웨어 신산업 수주지원', '소프트웨어 기업 수출활동 지원' 사업 등 정부적인 노력이 이어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