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별 코드

디스크 묶음

  • endisk pack
  • zh磁盘集合
  • jaディスクパック
  • dePlattenstapel
  • espila de discos, paquete de discos
  • idpaket disk
  • vibọc đĩa

여러 개의 디스크 원판(플래터)이 한 묶음으로 되어 있어서 묶음 단위로 디스크 구동 장치에 넣어 사용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디스크 묶음은 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져 있다. 디스크 장치에 올려놓을 때에는 보호 용기의 바닥 부분을 떼어 내고, 올려놓고 난 다음에는 위 뚜껑을 떼어 낸다. 소형 컴퓨터나 메인 프레임 컴퓨터 등에서는 대량의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디스크에 담긴 정보를 보관해 두고 새로운 기억 매체를 제공해야 한다. 시스템 운영자는 디스크 묶음을 교체하여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다. 디스크 묶음에는 일반적으로 14인치(35.56cm) 디스크가 사용된다.

조작 제어판

  • enoperation control panel
  • zh操作控制板
  • jaオペレ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パネル、オペレーションコントロールパネル、操作制御盤
  • deBetriebsbedienfeld
  • espanel de control para operación
  • idpanel kontrol operasi
  • vipa-nen điều khiển hoạt động

컴퓨터 장치의 조작이나 제어를 하기 위한 작업대 조작이나 테이블의 일부분.

검사 문제

  • encheck problem
  • zh检验问题
  • ja検査問題
  • dePrüfproblem
  • esproblema de control
  • idperiksa masalah
  • vivấn đề kiểm tra

기능 단위가 바르게 동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답을 알고 있는 문제.

트론

약어 TRON

  • enThe Real-Time Operating System Nucleus
  • zh实时操作系统中枢
  • jaトロン
  • deTRON
  • esEl sistema operativo en tiempo real Nucleus, Tron
  • idInti Sistem Operasi Real-Time, TRON
  • viTrung tâm hệ thống vận hành thời gian thực TRON

개방형 실시간 운영 체계(RTOS). 1984년 일본 도쿄 대학의 사카무라 켄(K. Sakamura) 교수의 주도로 히타치(Hitachi), 후지쯔(Fujitsu) 등 산학이 함께 개발한 운용 체계다. TRON 관련 프로젝트는 2010년 부터 티엔진(T-Engine) 포럼에서 관리한다.

슈퍼스칼라

  • ensuperscalar
  • zh超标量体系结构
  • jaスーパースカラー
  • deSuperskalar
  • essuperescalar
  • idsuperskalar
  • viSiêu vô hướng

복수의 연산 기기를 병렬로 작동시킴으로써 프로세스를 고속화하는 기술. 정수 연산기와 부동 소수점 가산기/승산기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이 많다. 복수의 파이프라인을 가지고 명령열에서 병렬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을 검출하여 각각의 파이프라인에 할당하여 처리시킨다. 병렬화는 일반적으로 명령 실행 단계에서 행해지지만, 컴파일할 때 행하는 것도 있다. 이전에는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초고속의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RISC)형의 프로세스에서도 채용되기 시작하였다. 슈퍼스칼라형의 RISC 프로세스로는 미국 인텔사의 i960CA, IBM사의 RS/6000 등이 있다. CISC 프로세스에도 슈퍼스칼라 구조를 채택하는 인텔사의 펜티엄(Pentium) 프로세스 등이 있다.

케이블 구성도

  • encable map
  • zh线对表
  • jaケーブル図
  • de Kabelkarte
  • esmapa de cable
  • idpeta kabel
  • vibản đồ cáp

어떤 지역이나 지점 간의 케이블망 구성, 케이블 종별, 쌍수 분기(雙數分岐), 상황 등을 기입한 도면. 경우에 따라서는 배선함, 단자함의 설치 위치, 쌍수, 배선 방법 등이나 전주, 맨홀 등의 위치, 지형 등을 기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