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 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스페인어 | 인도네시아어 | 베트남어 |
|---|---|---|---|---|---|---|---|---|
| 코드 | ko | en | zh | ja | de | es | id | vi |
과학 위성
- enscientific satellite
- zh科学卫星
- ja科学衛星
- dewissenschaftlicher Satellit
- essatélite científico
- idsatelit ilmiah
- vivệ tinh khoa học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인공위성. 우주 공간에 존재하는 대기의 밀도, 기온, 전리도, 태양으로부터 나온 방사선, 우주선 및 우주 먼지, 지구 자장의 모양 등을 조사한다. 미국의 파이어니어, 익스플로러, 스카이래브, 허블 우주 망원경 HST를 비롯해서 소련의 스푸트니크, 코스모스 및 사류트 등은 유명한 과학 위성이다.
동보 패킷
약어 BP
- enBroadcast Packet
- zh广播包
- ja ブロードキャストパケット
- deBroadcast-Paket
- espaquete de difusión
- idPaket Siaran, BP
- vigói truyền phát
TCP/IP나 IPX와 같은 근거리 통신망(LAN)계 프로토콜을 사용한 통신으로 단말이 주소 결정(address resolution)하기 위해 송출하는 패킷. LAN에서는 상대방의 매체 접근 제어(MAC) 주소를 모르면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처음에 먼저 주소 결정용 패킷을 일제히 동보해야 한다.
텔레데식 위성 시스템
약어 TSS
- enTeledesic Satellite System
- zhTeledesic卫星系统
- jaテレデシック衛星システム
- deTSS
- esSistema de satélite teledesico, TSS
- idSistem satelit teledesic, TSS
- vihệ thống vệ tinh viễn thông
미국의 그레이그 마코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 게이츠 회장이 출자한 텔레데식(Teledesic)사의 위성 시스템. 대규모 기업 사용자에서부터 가정 사용자까지를 대상으로 한 광대역 통신 서비스이다. 텔레데식은 당초 700km의 고도상에 840기(21개의 궤도면에 각각 40기의 위성 배치)의 위성을 저궤도에 발사, 전 세계를 커버할 계획이었으나 기술적 측면 및 비용 등을 고려해서 288기(12개 궤도면에 각각 24기의 위성 배치)의 위성을 지상 1,400km에 발사하기로 계획을 축소, 조정하였다. 한편 위성에는 비동기 전송 방식(ATM)과 유사한 고속 패킷 교환 기능과 위성 간 통신 기능을 가진 것으로 광대역 ‘Internet-in-the-sky’ 실현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성 시스템 구축에는 미국 보잉(Boeing)사가 참여하여 2003년 서비스를 목표로 추진하였다. 통신 속도는 표준 단말기의 경우 단말-센터는 2Mbps, 센터-단말은 64Mbps로 고속이고, 사용 주파수대 역시 ‘WRC-97’에서 상향 링크(uplink)용 28.6~29.1GHz, 하향 링크(downlink)용으로 18.8~19.3GHz를 이미 할당하여 실용화를 촉진하였다. 그러나 기술적 장애와 비용 초과 등으로 중단되었다.
자기 원통
- enmagnetic drum
- zh磁鼓
- ja磁気ドラム
- deMagnettrommel
- estambor magnético
- iddrum magnetik
- vitrống từ tính
알루미늄 합금으로 된 지름이 20~30cm이고, 길이가 20~40cm인 원통형 표면에 자성 자료를 입힌 기억 장치. 잔류 자기의 상태에 의해 기억된다. 즉, 데이터의 기억은 선정된 원주의 트랙이 회전해 왔을 때, 데이터에 대응하는 펄스가 헤드에 보내져 자기적으로 원통상에 기억된다. 또, 원통상에는 일정한 장소에 대응해서 주소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억 용량 전체에 관하여 주소 지정이 가능하다. 데이터를 외부로 끄집어낼 경우에는, 자기 헤드에 의해 주소에 대응하는 선정된 위치가 헤드 바로 아래에 왔을 때 헤드가 잔류 자기를 전기적 펄스로 변화시켜 판독한다. 등속 호출이 가능한 기억 장치로서 보조 기억 장치로 쓰인다.
과도 응답
- entransient response
- zh瞬态响应
- ja 過渡応答
- deEinschwingverhalten
- esrespuesta transitoria
- idrespon sementara
- viđáp ứng tạm thời
제어계의 독특성을 평가하는 수단의 하나로, 입력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가했을 때 정상 상태가 되기까지의 출력 신호의 시간적 변화.
클라우드 스트리밍
- encloud streaming
- zh云流送
- jaクラウドストリーミング
- deCloud-Streaming
- esCloud Streaming
- idstreaming cloud
- vitruyền phát đám mây
높은 연산 능력이 필요한 그래픽 집약적인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딩 컴퓨터 서버에서 구동하고 그 결과만 비디오 스트림 형태로 사용자 기기에 전송하는 기술. 주로 모바일 기기에서 고성능 멀티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는데에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술이 이용된다. 클라우딩 컴퓨터 서버에서는 고성능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멀티미디어의 빠른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클라우딩 컴퓨터 서버에서 수행된 결과를 비디오 스트림의 형태로 실시간 전송받아서 재생만 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버에서 구동되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재생되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사용자가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짧게 만드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기술적 이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