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별 코드

중앙 여백

  • encenter margin
  • zh中间页边
  • jaセンターマージン, 中央余白
  • deMittelrand
  • esmargen central
  • idmargin tengah
  • vilề trung tâm

직렬 프린터의 인쇄 가능 영역을 좌우 2개로 나눈 다음 각각 다른 인쇄 용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우측 용지의 인쇄 가능 영역의 맨 왼쪽에 해당하는 위치. 좌측 용지에 인쇄할 때 1행마다 좌측 여백까지 되돌아가면 우측 용지의 인쇄가 시작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좌측 여백과 우측 여백 사이에 마련된다.

플래그 동기 방식

  • enflag synchronization
  • zh标志同步操作
  • jaグラフ同期方式
  • deFlag-Synchronisation
  • essincronización de banderas
  • idsinkronisasi bendera
  • viđồng bộ hóa cờ

플래그라는 특정의 비트 패턴을 사용하여 신호 메시지의 시작을 찾는 방식. ITU-T No.7 신호 방식에서는 고위 데이터 링크 제어 절차(HDLC)로 채용되고 있는 8비트의 플래그 패턴(01111110)을 사용하여 가변 길이 신호 유닛의 개시, 종료를 식별하고 있다. 플래그 동기 방식에서는 플래그를 송신 신호 유닛의 선두(개시 플래그) 및 끝(종결 플래그)에 부가하여 신호 유닛이 연속하는 경우에는 앞 유닛의 종결 플래그와 다음 유닛의 개시 플래그를 겸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그 동기 방식은 신호 유닛마다 동기를 취하는 방식이다.

퍼지 C 평균

분야 machine learning

약어 FCM

  • enFuzzy C Means
  • zh模糊C均值聚类
  • jaファジーC平均
  • deFuzzy C bedeutet
  • esFuzzy C Berarti
  • idMedios difusos C
  • viThuật toán phân cụm dữ liệu mờ C-means (FCM)




집단 발생

  • enbatch origination
  • zh成批产生
  • ja集団発生
  • deChargenherkunft
  • esoriginación por lotes
  • idoriginasi batch
  • vixuất xứ hàng loạt

호가 집단으로 도착하는 것. 도착한 집단이 그대로 한무리가 되어 처리되는 경우는 집단 발생이라 하지 않는다.

부호기

  • encoder
  • zh编码器
  • jaコーダ
  • deCodierer
  • esdescifrador
  • idPembuat kode
  • vibọ mã hoá

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춘 회로에서 임의의 한 입력 단자에 신호가 가해졌을 때, 그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의 조합에 신호가 나타나는 것. 그림에서 0~3은 부호기의 입력, a~d는 그 출력이고 입력 신호가 0~3의 어느 하나에 가해졌을 때 a~d의 조합으로 신호가 나타난다. 그림에서는 1→(a, c)의 예를 나타낸다.

클리어 쾀

  • enClear QAM
  • zh有线电视插孔
  • jaクリアカム
  • deClear QAM
  • esClaro qam
  • idBersihkan QAM
  • viXóa QAM

디지털 케이블 TV 송출 방식인 직교 진폭(QAM) 변조 방식 중 스크램블을 걸지 않고 송출하는 방식. 클리어 쾀(Clear QAM) 수신 칩이 내장된 TV는 케이블 방송에서 송출하는 스크램블되지 않은 디지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지상파 방송과 무료 방송만 수신할 수 있으며, 뉴미디어의 핵심인 양방향 서비스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