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언어별 코드

상호 작용 서비스

  • eninteractive service
  • zh互动式服务
  • ja双方向サービス
  • deinteraktiver Dienst
  • esServicio interactivo
  • idlayanan interaktif
  • vidịch vụ tương tác

유무선 통신 기기로 사용자와 호스트가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 사용자는 와이파이(Wi-Fi), 이동통신망 등 IP 망에서 스마트폰, IPTV 등 기기를 통해 원하는 비디오, 음악, 방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를 찾아 이용할 수 있다.

도래 각

  • enarrival angle
  • zh到达角
  • ja到来角
  • deAnkunftswinkel
  • esángulo de llegada
  • idsudut kedatangan
  • vigóc đến

수신된 신호의 도래각을 측정하여 신호원을 기준으로 수신기로부터 오는 신호의 방향을 찾아내어 위치를 결정하는 측위 방식. 즉, 하나의 기지국에서 4~12개 정도의 안테나가 각 방향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를 보내는 안테나의 번호를 수신하여 각 기지국 안테나의 방향, 즉 cell site(커버 영역)와 신호원과 겹치는 곳을 그 위치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도심지역에서는 건물 반사에 의해 상당히 큰 오차가 날 수 있다.

단파 수신기

  • enshort wave receiver
  • zh短波接收机
  • ja短波受信機
  • deKurzwellenempfänger
  • esreceptor de ondas cortas
  • idpenerima gelombang pendek
  • vibộ nhận sóng ngắn

3~30MHz의 주파수 범위의 전파를 수신하는 장치.


웹 운영 체제

약어 WOS

  • enWeb Operating System, Web OS
  • zh网络操作系统
  • jaWebOS
  • deWeb OS
  • esSistema operativo web, SO web, WOS
  • idSistem Operasi Web, OS Web
  • viHệ điều hành web, Hệ điều hành web, WOS

웹 표준 기술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운영 체제. 표준을 따르므로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이 우수하고, 기기의 제조사별 특성이나 기술 사양에 영향 받지 않는다.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기기와 웹 서비스만을 위한 클라우드 단말, 스마트 TV, 냉장고 등의 스마트 가전제품에 사용된다. 대표적인 웹 운영 체제로 크롬 OS, 타이젠, 웹오에스(webOS) 등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나 애플(Apple)의 맥OS(macOS) 같은 독자적 운영 체제는 서로 다른 이용 환경을 제공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도 각각 독자적으로 만들어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제조사별 고유 OS의 단점은 제품 개발 시 새로운 OS에 능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신속히 확보하기 어렵고, 사용자는 OS별 환경에 맞춰 이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다는 것이다. 웹 운영 체제(WOS)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의 국제 웹 표준을 바탕으로 하기에, 사용자는 제품 기기의 환경과 관계없이 인터넷에 접속된 웹 브라우저에서 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웹 개발자는 기존에 알고 있는 웹 개발 지식으로 기기에 상관없이 웹 앱을 개발할 수 있다. 웹의 사용 환경, 소스 코드 재사용, 웹 자원 관리, 웹 보안 등 웹 생태계 구축이 기존 독자적 OS 환경보다 쉽다. 일반적으로 웹 운영 체제는 리눅스(Linux)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웹 플랫폼을 올리는 형태로 개발된다. 대표적인 웹 운영 체제로 구글(Google)의 크롬(Chrome) OS, 삼성전자의 타이젠(Tizen), LG전자의 웹OS(webOS) 등이 있다. ※ 웹 생태계는 웹 기반으로 하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웹 개발자, 웹 소프트웨어, 웹 서비스, 웹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웹 플랫폼 제공자, 웹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사용자 등을 포함한다. ※ LG전자의 웹 운영 체제의 이름은 'webOS'로, 표기 혼동에 주의해야 한다.

비트열 독립

약어 BSI

  • enBit Sequence Independency
  • zh位序列独立性
  • jaビット列独立性
  • deBSI
  • esIndependencia de la secuencia de bits
  • idBit Sequence Independency, BSI
  • vichuỗi bit độc lập

디지털 전송망에서 정보원으로부터의 비트열이 어떠한 패턴이라 해도 투과적으로 전송 가능한 것.

비사용 구역

  • endead zone
  • zh死区
  • jaデッドゾーン
  • deTotzone
  • eszona sin cobertura
  • idArea yang tidak digunakan
  • vivùng chết

데이터 저장을 위해 보유된 곳이 아닌, 저장 매체에 있는 여러 형태의 특정한 부분.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의 비트 그룹 사이의 간격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