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내용
언어별 코드
| 언어 | 한국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독일어 | 스페인어 | 인도네시아어 | 베트남어 |
|---|---|---|---|---|---|---|---|---|
| 코드 | ko | en | zh | ja | de | es | id | vi |
투채널 인증
- entwo-channel authentication
- zh双通道认证
- ja二チャンネル認証
- deZweikanal-Authentifizierung
- esautenticación de dos canales
- idAutentikasi dua saluran
- vichứng nhận hai kênh
①자동 응답 시스템(ARS)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로 전화를 걸어 결재 내역을 확인한 뒤 사용자가 승인하면 결제가 이루어지는 인증 시스템. 전화 인증이라고도 한다. ②부가적인 인증 서비스를 통한 사용자 인증 방식. 예를 들면, 인터넷 뱅킹의 최종 이체 단계에서 PC 이외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최종 본인 확인후 금융 거래를 받을 수 있다.
열잡음
약어 thermal agitation noise, Gaussian noise
- enthermal noise
- zh热噪声
- ja熱雑音
- deThermisches Rauschen
- esruido térmico, ruido de agitación térmica, ruido gaussiano
- idkebisingan termal
- vitiếng ồn nhiệt, tiếng ồn kích động nhiệt, tiếng ồn Gausian
수신기, 전송 선로 혹은 전파 매체 내에서 열교란에 의해 발생되는 잡음. 열 에너지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온도가 높을수록 잡음 전압이 커지며 주파수 분포가 넓은 범위에 이른다. 저항기에서 많이 발생하며 기기 내부 잡음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비자립형 5세대 이동 통신
약어 5G NSA
- en5G Non-Standalone
- zh5G非独立组网
- jaファイブジー‐エヌエスエー
- de5G NSA
- es5G no autónomo, 5G NSA
- id5G Non-Standalone, 5G NSA
- vimạng không độc lập 5G
기존의 엘티이(LTE) 이동 통신망에 5G 엔알(NR: New Radio) 기지국을 추가 연결하여 LTE 서비스에서 5G 서비스로 비교적 쉽게 진화하는 망 구조. 5G 이동 통신의 상용화 초기에 적용할 수 있고, 서비스 이용자에게 LTE 서비스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5G 자체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고 기존의 LTE 망에 의존하는 형태로, 비자립형(또는 종속형, Non-StandAlone)이라고 부른다. 가장 이상적인 5G 망 구조는 5G 시스템, 즉 5G NR 기반의 무선 접속망(NG-RAN)과 5G 핵심망(5GC)으로만 구성하는 자립형(또는 단독형, Standalone)이다. 하지만 자립형 5G 망을 구축하여 안정적으로 서비스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초기에는 기존에 설치된 4G LTE 망에 5G NR 기지국을 종속시켜 5G 서비스로 쉽게 진화할 수 있는 비자립형 망을 구축한다. 5G 비자립형 구조는 5G NR 기지국(gNodeB)이 4G LTE의 무선 접속망(E-UTRAN)과 핵심망(EPC)에 연결되어, 4G LTE의 E-UTRA와 NR이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을 갖는 구조 형태이다. gNodeB는 직접 또는 LTE 기지국(eNodeB)을 통해 EPC에 접속한다. LTE 기지국 eNodeB가 주 기지국으로, 사용자 평면과 제어 평면 데이터를 처리한다. 5G gNodeB는 사용자 평면 데이터만 처리한다.
원격 작업
- enremote job
- zh远程椎
- jaリモートジョブ
- deRemote-Job, Remotework
- estrabajo remoto
- idpekerjaan jarak jauh
- vicông việc từ xa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원격지에 있는 단말 장치 또는 중앙 처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일.
전자 이체
약어 EBT
- enElectronic Benefit Transfer
- zh电子利益转移
- jaEBT
- deElektronische Leitungsüberweisung
- esTransferencia electrónica de beneficios, EBT
- idTransfer Manfaat Elektronik, EBT
- viChuyển lợi ích điện tử
사회 보장 보조금 수혜자에게 급부금을 전자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사회 보장 급부를 전표, 상환권, 쿠폰 등으로 발행하여 운영하는 데 따른 어려움의 해소와 비용 절감 차원에서 채택하여 정부의 식품 교환권, 퇴직 급여, 학비 보조금, 의료 보호, 실업 보험, 아동/가족 등에 대한 각종 사회 보장 지원 등이 기존의 상용 기반 구조 즉 전자 자금 이체망, 상용 은행 업무 처리망, 신용/현금 카드 결제망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전자 상거래와 동시에 처리 가능하게 된 것이다.
메일 계정
약어 MA
- enMail Account
- zh电子邮件账户
- jaメール‐アカウント
- deMail-Account
- escuenta de correo
- idAkun Surat, MA
- vitài khoản mail
이메일 이용자를 관리하기 위해서 마련된 개별 계정. 사용자 식별 기호(user ID)와 유사하나 이 문자열을 통해서 컴퓨터 이용 횟수나 요금 계산을 하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다. 인터넷 이메일 주소의 추가 마크 @(At)과 도메인명을 빼고 남은 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이메일 주소가 ‘npcec@tta.or.kr’라면 ‘npcec’ 부분이 개별 계정에 해당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