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디바이스
정의

시장현황
시장 동향
▪ 2021년 전 세계 모바일 디바이스 수는 약 149억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며 2025년에는 182억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는 5G 네트워크의 확산과 6G 네트워크 개발 및 상용화에 따라 더욱 가속화될 전망
▪ IoT 솔루션이 제공하는 AI와 ML, 실시간 데이터 학습 등의 영향으로 2023년 셀룰러 IoT 장치 수는 35억 대를 상회할 전망이며 동북아시아 지역에만 22억 대 이상의 장치가 가동될 것으로 예상
▪ IDC에 따르면, 전 세계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은 2018년 1억 2,490만 대에서 2022년 1억 9,980만 대로 4년 동안 8.2% 증가할 것으로 전망
- IDC는 웨어러블 기기 내 스마트워치 출하량은 2018년 4,350만 대에서 2022년 8,910만 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향후 출시될 스마트워치는 헬스케어와 피트니스 기능, 모바일 기기와의 연동, 사물인터넷 통합 기능 등 더 많은 기능을 갖추고 진화하면서 소비자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임
서비스 동향
-
▪ 빅테크 기업 간 스마트 디바이스 경쟁 치열
- 아마존, 스마트링 및 스마트글래스 신제품 7종 출시
- 구글, 시장 확대를 위해 신제품 크롬캐스트 및 스마트스피커 출시
▪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가속화
- Welt, 생체 신호 활용한 스마트 벨트 출시
- 스탠포드대학 연구소 땀, 속 코티솔 측정 가능한 웨어러블 기술 개발
- 싱가포르연구원 디바이스 , 간 무선 연결 속도 향상을 돕는 티셔츠 개발
▪ 몰입형 단말기와 컴패니언 로봇 등 차세대 디바이스 출시 증가
- 메타버스를 현실화 하기 위한 VR 등의 몰입형 단말기 관심 증대
- 로봇 보급화 움직임에 따라 가정 내 컴패니언 로봇에 대한 관심 증대
- 기업에서는 간호, 노인 인구 보호 등의 목적으로 로봇 활용 방안 모색 중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 애플과 삼성이 양분하고 있던 스마트폰 시장이 오포, 샤오미 등 중국의 저가 스마트폰이 증가함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음
▪ IDC에 따르면 2022년 2분기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 전년 대비 8.7% 감소.
2022년 2분기 기준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삼성 21.8%, 애플 15.6%, 샤오미 13.8%, 비보 8.7%, 오포 8.6% 점유율 기록.
표준화 동향
▪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표준협회(IEEE-SA) 산하 웨어러블 기기 분과 위원회(Wearables Working Group)에서 웨어러블 소비자 전자기기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프로젝트 P360을 진행하고 있음
▪ 헬스케어 관련 웨어러블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심박수를 표시하는 제품은 의료기기로 구분하여 의료기기의 안정선 등을 평가하는 승인을 받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