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유무선통신(5G)
정의

시장현황
시장 동향
• 가트너(Gartner)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통신서비스 지출액은 2021년 1조 4,450억 달러로 조사되었으며, 2022년에는 1조 4,82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됨.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 성장한 1억 4,778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2022년 전 세계 무선 네트워크 시장 매출액은 498억 5,100만 달러로 집계됨. 이 중 5G 매출액이 232억 5,460만 달러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2020년 매출 1위를 기록했던 LTE 및 4G 매출액은 1억 2,114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으며, 2022년에도 LTE 및 4G 매출액은 점차 감소하고 5G 매출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서비스 동향
•2019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5G 인터넷 네트워크를 상용화함. 또한, 우주 기반 인터넷 서비스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서 아마존(Amazon), 스페이스X(SPACE X), 원웹(One Web) 등 관련 기업들이 위성 인터넷 관련 청사진을 내놓음
•5G 기술이 대중화 단계에 들어서고 미래 기술로서 중요도가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5G 기술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전개됨. 2022년에는 네트워크 부하를 막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펼쳐지고 있는데, 특히 광 케이블망 배치는 전 세계 국가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 아울러 보다 넓은 지역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위성 인터넷의 상용화가 본격화 되고 있음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 AT&T :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 Huawei : 통신 장비 기업 점유율 1위
- Ericsson :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개발 기업
- 5G 에지 컴퓨팅 위해 빅테크 기업과 협력을 활발하게 진행
- 2023년 말까지 2억 명 이상의 이용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120MHz의 중대역 스펙트럼 구축할 계획
- 아프리카에서 서비스 현지화를 통해 점유율 확장해 나가는 중
- 2021년 중국 정부에 운영체제를 기부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국 내 서드파티 기업 늘려간다는 방침
- 2021년 Vonage 인수로 무선 엔터프라이즈 전략 확장
- 퀄컴, 탈레스와 협력하여 저궤도 위성을 활용하는 위성 기반 5G 네트워크 테스트 계획
표준화 동향
-
<ITU-T 국제표준 채택 목록(2022)>
- IMT-2020 등 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지터 상한 보장 프레임워크
: 중~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지터(jitter)를 보장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정의 - 멀티클라우드 기능요구사항
: 멀티클라우드 개념정의, 멀티클라우드 관리를 위한 기능 요구사항 정의 - 분산 클라우드 글로벌 관리 프레임워크
: 지리적으로 분산된 클라우드 환경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정의 - QKD 네트워크 품질 보장 기능 구조
: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킆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 구조 설계, 구조별 기능 요소 및 동작절차 정의 - Machine Learning 기반 QKD 네트워크 품질 보장 요구사항
: 기계학습 기반의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품질 보장 요구사항 정의, 기계학습을 양자암호통신에 적용한 최초의 표준
진출현황
- KT, 미국 5G 스타트업 Movandi 손잡고 5G 빔포밍 기지국 개발
- SK텔레콤, Microsoft와 5G 등 첨단 ICT 분야 협력 강화
- KT는 국내 중소기업 쏠리드, 미국 5G 스타트업 Movandi와 함께 28GHz 대역 개방형 5G 빔포밍 기지국을 개발함
- KT의 개방형 5G 기지국 규격을 기반으로 쏠리드는 무선 장비 개발을 맡았으며, Movandi는 28GHz 5G 빔포밍 안테나 기술을 무선 장비에 탑재함
- KT의 개방형 5G 기지국 규격을 기반으로 쏠리드는 무선 장비 개발을 맡았으며, Movandi는 28GHz 5G 빔포밍 안테나 기술을 무선 장비에 탑재함
- SK텔레콤은 Microsoft와 다양한 영역에서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사업 기회 발굴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 5G 및 AI, 클라우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방침임
- SK텔레콤이 우위를 가진 5G 기술력과 Microsoft가 보유한 뛰어난 클라우드 및 AI 기술을 결합한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계획임
- SK텔레콤이 우위를 가진 5G 기술력과 Microsoft가 보유한 뛰어난 클라우드 및 AI 기술을 결합한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계획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