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정의

  •  
  • 시장현황

    시장 동향
      -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프레시던스 리서치(Precedence 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5G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3년 1,412억 8,000만 달러(약 188조 1,143억 원)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되며 2024년에는 2,043억 3,000만 달러(약 272조 654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4.63% 신장하여 2030년 1조 8,700억 달러(약 2,489조 9,050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
    서비스 동향
      1.G의 상용화 확대로 전 세계 5G 가입자 수가 2021년 말 5억 8,0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우주 통신망 구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페이스 X(Space X)의 위성통신망 스타링크 (Starlink)가 베타 서비스를 출시함.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 5G 기술을 활용하면서 사물인터넷(IoT)에서 확장된 디지털 기술을 갖춘 지능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와 소비자 제품을 뜻하는 만물인터넷(IoE)으로의 전환과 메타버스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었음.

      2. 2023년에는 미래형 스마트시티 구축, 정교한 메타버스 구현, 원격 작업의 효율화 등에 5G 기술이 폭넓게 채택되고 있음. 글로벌 각국은 네트워크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광케이블망 배치를 확대하고 있음. 2024년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5G 효율성 향상을 촉진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음. 독립형 5G 서비스 상용이 가속화될 전망이며, 오픈 RAN 기술 활동도 증가할 것으로 보임.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1. IMT-2020 등 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지터 상한 보장 프레임워크
      : 중~대규모 네트워크에서의 지터(jitter)를 보장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정의

      2. 멀티클라우드 기능요구사항
      : 멀티클라우드 개념정의, 멀티클라우드 관리를 위한 기능 요구사항 정의

      3. 분산 클라우드 글로벌 관리 프레임워크
      : 지리적으로 분산된 클라우드 환경을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정의

      4. QKD 네트워크 품질 보장 기능 구조 
      :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킆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 구조 설계, 구조별 기능 요소 및 동작절차 정의

      5. Machine Learning 기반 QKD 네트워크 품질 보장 요구사항
      : 기계학습 기반의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품질 보장 요구사항 정의, 기계학습을 양자암호통신에 적용한 최초의 표준
    표준화 동향
      1. Qualcomm : 5G 환경에서 작동하는 칩셋 제공- 2024년 7월에는 5G의 접근성과 안정성을 증진할 스냅드래곤 4s 2세대 모바일 플랫폼을 공개하였으며, 샤오미 단말기에 가장 먼저 탑재할 계획임 

      2. Huawei : 세계 최초의 5.5G 서비스 상용화 - 22024년 7월, 3GPP Release 18을 기반으로 한 세계 최초의 상용 5.5G 서비스 아폴로(Apollo)를 출시하여 5G 효율을 극대화함

      3. Ericsson : 다양한 기업과 협력하여 5G 네트워크 구축 성공 - stc 그룹과 협력하여 5G 독립형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자동 무선 자원 분할에 성공하였으며, 각국의 이동통신사와 협력하여 5G 서비스 확대 위한 기술을 제공함
       

    진출현황

      1. 에치에프알, 해외 진출 및 5G 특화망 사업 강화
       - 일본 NEC 자회사 NESIC과 사업 제휴 체결을 완료했고, 북미와 유럽 등에서도 사업을 추진 중이며 향후 로봇, AR/VR, AI 등 기업들의 다양한 사업 전개 시 필수로 요구되는 5G 특화망 사업을 확대할 예정임
       - 통신장비 사업은 통신사업자들에게 일회성으로 판매하고 끝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 진출, 프라이빗 5G 구축 및 운영 서비스를 통한 반복 매출(구독형 비즈니스 모델) 사업을 추진중
       
      2. 우리넷, 5G 미국 시장 진출…스마트팩토리 통신망 구축
      광통신망 및 셀룰러 디바이스 전문 기업 우리넷이 특화망 5G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국내 대기업 미국 공장에 구축할 이음 5G 사업에 참여함
      일본과 유럽 등의 5G 특화망 사업에도 단말을 공급하기 위해 기지국 장비와 연동 테스트를 진행해 카가FEI 인증 등을 획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