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정의

  • 품목별 브리핑 정보 블록체인정의 블록체인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함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하기 때문에 데이터 위조나 변조가 어려움2009년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암호화폐 비트코인이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2017년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시장은 비약적으로 성장하였음시장동향스태티스타에 따르면,  2020년 블록체인 기술 시장 규모는 45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1년에는 66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추산됨. 2024년에는 19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임블록체인 스타트업은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는데, 그 중 금융기술 스타트업이 가장 많은 투자 건수를 기록함2021년 상반기 블록체인 솔루션 지출 규모는 26억달러로 2020년도 총 투자액을 초과함산업 동향금융 이외의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음. 디지털 ID와 백신 공급망 구축 등 코로나 19 대응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사례가 증가함기업의 블록체인 지출이 2023년까지 159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가장 많이 도입된 모델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타남.전 세계 각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추진 중에 있음. 중국은 정부 등록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500건 이상이며, 태국은 E-Visa 시스템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계획임글로벌 유망기업 현황Ripple 가치평가액은 약 100억 달러이고 사업분야는 자금 이체 블록체인 솔루션이며, 개발 기술은 리플코인(XRP), Atomic(XRP 지갑)입니다.DFINIFTY 가치평가액은 약 95억 달러이고 사업분야는 블록체인 기반 종합 솔루션이며, 개발 기술은 Fleek(분산 웹 호스팅)입니다.Blockchain.com 가치평가액은 약 52억 달러이고 사업분야는 가상자산 지갑 및 거래소이며, 개발 기술은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입니다.Circle 가치평가액은 약 30억 달러이고 사업분야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기술이며, 개발 기술은 디지털 통화 은행 계획스입니다.Kraken가치평가액은 약 29.2억 달러이고 사업분야는 암호화폐 거래소이며, 개발 기술은 암호화폐 거래 입니다.기술 선진국가/신흥국가선진국가 중 중국은 전 세계 100대 기업의 블록체인 발명 특허 출원 건수가 가장 많으며, 전체의 46% 차지하고,미국은 전 세계 100대 기업의 블록체인 발명 특허 출원 건수 전체의 24% 차지, 투자유치액 규모에서는 미국이 51%로 세계 1위이며, 주요 투자 기업으로는 Coinbase, Tzero, Ripple 등이 있음신흥국가 중 싱가포르는 정부, 890만 달러 규모 블록체인 혁신 프로그램 시작하여 무역과 물류 및 공급과 체인에서의 기술 사용에 중점에 있으며,인도는 국가정보센터, 벵갈루루에 블록체인 기술 센터 설립, 인도 정부 싱크탱크, ‘ 블록체인-인도전략‘ 정책 초안 공개함
  • 시장현황

    시장 동향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 2021년 66억 달러로 추산
      •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20년 45억 달러 기록,  2021년에는 66억 달러로 추산
      • 이후 연평균성장률 42.3%로 2024년에는 190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 규모, 2022년 1분기 65억 달러 기록
      • 블록체인 분야 벤처 투자는 2022년 1분기, 6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2년 만에 처음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세를 기록함. 2분기 블록체인 투자 중 57%는 웹 3.0분야에서 발생했으며, 유니콘 탄생 수는 16건에서 8건으로 감소함.
    서비스 동향
      • 전 세계 각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 움직임이 활발
       - 중국, 정부 등록 블록체인 프로젝트 500개 이상
       - 태국, E-Visa 시스템에 블록체인 적용 계획
       - 싱가포르 정부, 890만 달러 규모 블록체인 혁신 프로그램 시작

      • 금융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도입 증가
       - ESG관련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 증가, 공급망 관리 분야에서 활용 증가 추세
       - 메타버스의 기반 기술로서의 활용에도 관심 증가, 특히 메타버스의 화폐인 NFT가 예술 작품 및 소비재 시장에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글로벌 주요사업자로는 리플랩스(Ripple Labs Inc.), 사이언스소프트(ScienceSoft), 앤더슨(Andersen Inc.), 인텔렉소프트(Intellectsoft), 테크레이서(Techracers), 에바코즈(EvaCodes), 체인(Chain), 이즈테크(Ezetech), 크로마웨이(ChromaWay), 오픈레저(OpenLedger)가 있음
    표준화 동향
      • ISO/TC 307, ITU-T 연구반 및 포커스 그룹 등의 공적 표준화기구에서 표준안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주로 블록체인 용어 및 개념 통일, 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규격 설정 등을 중점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