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품목별 ICT 시장동향

보고서

정의

  • 시장현황

    시장 동향
      1.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규모, 2032년 12조 8,950억 달러로 증가
      -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23년 1,230억 달러를 기록함.
      - 2024년에는 1,970억 달러(약 264조 1,179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됨.

      2. 퍼블릭 클라우드, 블록체인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 차지할 전망
      - 퍼블릭 클라우드 부문이 62%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됨. 퍼블릭 클라우드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면 보다 큰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할 것으로 보임.
      - 산업별 매출에서는 금융 서비스 부문이 전체의 4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이는 금융거래에서의 투명성과 보안 및 효율성에 대한 필요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임.
    서비스 동향
      1.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와 NFT 기술 활용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이 증가하였음. 에너지와 재활용 등 ESG 관련 분야, 공급망 관리 등의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이 증가했음. 또한, 탈중앙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NFT 기반의 기술이 각광을 받았는데, 예술 작품 및 소비재 시장에서의 활용 사례도 크게 증가하였음.

      2. 블록체인은 물리적 자산을 디지털 토큰으로 표현하는 자산의 토큰화를 가속함. 부동산, 예술 작품, 지식재산권 및 일반 상품에 대한 소유권 또는 지분을 나타나는 토큰을 생성하고 거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계약으로 안전성이 보장되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글로벌 주요사업자 현황
      1. 2023년 6월 중국 산업정보기술부(MIIT)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국내 최초의 국가 표준을 발표함

      2. UN, IGF(Internet Governance Forum) 및 GBA(Government Blockchain Association)와 블록체인 표준 그룹을 만들기 위해 협력

      3. ISO/TC 307, ITU-T 연구반 및 포커스 그룹 등의 공적 표준화기구에서 표준안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 주로 블록체인 용어 및 개념 통일, 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규격 설정 등을 중점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임
    표준화 동향
      • NVIDIA: 블록체인 채굴용 고성능 GPU-최첨단 GPU로 암호화폐 채굴 산업에 기여
       - 빠른 계산 처리 능력과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보안 및 회복성을 향상하고, 예측 분석을 통해 정밀하게 시장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음. 또한, AI 기술을 암호화폐 보안 프로토콜에 통합하여 사기 활동을 식별할 수 있게 함

      • IBM : 블록체인 기반 기업 솔루션
      - 2023년 10월, 콜드 스토리지(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스토리지)에 보관된 디지털 자산을 처리하기 위한 암호화 기술 ‘IBM 하이퍼 프로텍트 오프라인 사이닝 오케스트레이터(IBM Hyper Protect Offline Signing Orchestrator)’를 출시함

      • PayPal :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운영
      - 미국 주요 금융기관 중에서는 처음으로 달러화에 연동한 스테이블 코인 ‘페이팔USD’를 출시함 
      - 달러 예금, 미국 단기물 국채, 현금 등가물 등을 담보로 지정하며, 가치 변동에 대비해 완충 역할을 하도록 설계됨
       

    진출현황

      • KISA(한국인터넷진흥원)는 블록체인·핀테크·정보보호 기업의 해외진출 및 자금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서울투자청과 업무협약을 체결함
      • 정부, 초거대 AI 플랫폼 등 '디지털 분야 해외진출 및 수출 활성화 전략'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