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중동아프리카 사우디아라비아
수도 | 리야드 | 인구 | 3,548만 명('22, IMF) |
---|---|---|---|
면적 | 2,149,690㎢ (한반도의 9.7배) | 민족 | 아랍인 |
언어 | 아랍어 | 종교 | 이슬람교 |
기후 | 건조 기후 | ||
FTA체결여부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
GDP | 억 달러 | 7,342 | 8,685 | 10,600 |
1인당 GDP | 달러 | 20,090 | 23,510 | 31,850 |
경제성장률 | % | -4.3 | 3.9 | 3.1 |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사우디아라비아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2,066,837 | 289,821 | 1.31% | 23 |
수입액 | 22,109,522 | 147,911 | 0.67% | 31 |
교역액 | 44,176,359 | 437,732 | 0.99% | 28 |
ICT 현황
개황
사우디아라비아의 ICT 현황 평가지표는 유선 브로드밴드 가입률(22.7%)을 제외하고 한국과 유사한 수준을 보임. 사우디아라비아 글로벌 혁신지수는 51위로, 5위인 한국 대비 열위이나 2021년 66위였던 것과 비교해 전반적으로 상승함
2019년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MCIT)는 디지털 혁신을 위한 방법으로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Cloud First Policy)'을 도입함. 해당 정책은 사우디의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를 다각화하기 위한 청사진인 '비전 2030(Vision 2030)'의 일환으로 시행됨
2022년 7월 사우디 수도 리야드(Riyadh)에 탄소 제로 스마트시티 '알나마(Alnama)'의 조성이 시작됨. 해당 프로젝트는 두바이 디자인 지구에 본사를 두고 여러 대규모 스마트시티를 기획한 경험이 있는 URB가 주도함
ICT 유관기관 현황
- CST(Communication, Space & Technology Commission)
- (역사) 2022년 11월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위원회(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mmission)는 통신우주기술위원회(Communication, Space & Technology Commission)로 명칭 변경
(목적) 통신, IT, 신흥 기술이 결합하여 우주 부문에 대한 ICT 환경을 구축해 국가에 유용한 통신 인프라 제공
(특징) ITU와 디지털 규정 교육 프로그램 운영, 클라우드 컴퓨팅 및 정보학을 위한 특별 경제 구역 개발
- (역사) 2022년 11월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위원회(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Technology
- MCIT(Ministry of Communications Information Technology)
- (역사) 2003년 설립
(목적) 사우디아라비아의 통신 및 정보 기술 분야 전반을 총괄
(특징) 정보통신기술 관련 사우디아라비아 국가 개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핵심 정보 기술 추진 시, 정부 부처 및 기관 간 이해관계 및 협력관계 조정
- (역사) 2003년 설립
협력현황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사우디 비즈니스 상담회' 개최 (2023.05.03)
- 사우디 전기차 자유구역 사업에 한국업체 대거 참여 (2023.03.09)
- 호반그룹, 사우디 아람코와 업무협약 체결 (2023.02.13)
- 직방, 사우디 부동산 시장 디지털화 추진을 위한 MOU 체결 (2023.02.09)
- 다보스 포럼 계기 한-사우디 외교장관 회담 개최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