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핀란드, 수도, 인구, 면적, 민족, 언어, 종교, 기후, FTA체결여부 정보 제공
수도 헬싱키 인구 554만 명('21, 통계청)
면적 338,145㎢ (한반도의 1.5배) 민족 핀란드인, 스웨덴인 등
언어 핀란드어 종교 기독교
기후 북극 온대성 기후
FTA체결여부 EU 발효(2011년 07월)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정보 제공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GDP 억 달러 2685.5 2716.1 2975.8
1인당 GDP 달러 48,670 49,160 53,770
경제성장률 % 1.2 -2.2 3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무역현황 - 구분, 전세계, 비중, 순위 정보 제공
구분 전세계 핀란드 비중 순위
수출액 22,066,837 81,827 0.37% 41
수입액 22,109,522 85,748 0.39% 43
교역액 44,176,359 167,575 0.38% 42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자율주행자동차
개황
    • 2019년 3월 발표된 ‘Digital Infrastructure Strategy 2025’는 핀란드의 기술 중립 광대역 통신에 대한 목표와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 기업과 소비자 양측의 요구를 모두 고려하여 고안됨. 5G 시행 촉진 및 광섬유 설치 지원 방안이 포함되어 있으며, 서비스의 디지털화 및 기존 인프라에 필요한 핵심과제를 담고 있음
    • 2021년 6월, 핀란드 경제부(MEA)는 2024년까지 계획된 '실시간 경제 프로젝트(RTE)'를 착수함. 해당 이니셔티브의 목적은 디지털 경제 발전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 것으로, 글로벌 디지털화 관련 핀란드의 위치를 공고히 하고, IT를 사용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핀란드 재무부가 핀란드 시민과 핀란드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디지털 ID 개발 및 신원 확인을 위한 기능적 솔루션 개발 촉지니을 목표함. 정부 프로그램은 공공 서비스에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과 평등을 보장하는 전자 공공 서비스 사용을 위한 충분한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 해당 프로젝트는 2020년 10월 8일부터 2023년 6월 30일까지 진행될 예정임
  • ICT 유관기관 현황
    • VTT 핀란드 기술연구센터
      • - 국영 소유로 통제되는 비영리 유한책임 회사
        - 핀란드에서 응용 연구를 수행하는 가장 큰 기술연구기업이자 연구센터
        - 민간 및 공공 부문의 국내외 고객과 파트너에게 연구 및 혁신서비스, 정보를 제공함
    • Tekes
      • 핀란드 혁신 기금 기관(Tekes)
        - 핀란드 고용경제부의 일부인 기술 및 혁신을 위한 핀란드 자금 지원 기관
        - 2009년 Tekes는 2,177개의 프로젝트에 5억 7,900만 유로 투자
    협력현황
    • 한-핀란드, 고준위 방폐물 처분 기술 정책 협력 논의  (2022.10.28)
    • 삼성전자, 삼성 월렛 지원 국가에 핀란드 추가 계획  (2022.10.14)
    • 행정안전부, 핀란드 등 외교사절단에 부산 스마트시티 선봬  (2022.09.26)
    • GS건설, 핀란드 업체와 차세대 바이오에탄올 개발 협력  (2022.08.31)
    • LG유플러스, 노키아와 6G 연구개발 협력  (20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