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아시아 태평양 미얀마
수도 | 네피도 | 인구 | 5,389만 명('22, IMF) |
---|---|---|---|
면적 | 676,578㎢ (한반도의 1.2배) | 민족 | 중국티베트어족, 따이까다이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인도유럽어족 |
언어 | 미얀마어 | 종교 |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 | ||
FTA체결여부 | ASEAN 발효(2007년 06월) 한국, ASEAN 10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RCEP 발효(2022년 02월)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
GDP | 억 달러 | 813 | 652 | 568 |
1인당 GDP | 달러 | 1,530 | 1,220 | 1,050 |
경제성장률 | % | 3.2 | -17.9 | 2 |
무역현황
※ 기준 : 2022년, 천 달러, 출처: 관세청
구분 | 전세계 | 미얀마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683,584,760 | 384,321 | 0.06% | 72 |
수입액 | 731,369,657 | 629,081 | 0.09% | 63 |
교역액 | 1,414,954,417 | 1,013,402 | 0.07% | 70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전자상거래
개황
- 미얀마 디지털 경제 발전 위원회가 디지털 경제 로드맵 2018-2025(Myanmar Digital Economy Roadmap 2018-2025)을 발표함. 해당 전략은 디지털 혁신, 거버넌스, 무역 및 혁신을 가능하게 하여 디지털 경제를 개발하고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경제적 개발을 장려하기 위한 전략임. 교육, 의료, 농업, 어업 및 축산, 관광 및 숙박, 제조 및 중소기업, 금융 서비스, 기술 및 스타트업 생태계, 디지털 무역, 운송 및 물류의 9개 부문에서 디지털 발전을 목표함
- 2020년 2월 미얀마 교통통신부(MOTC)는 광대역 및 5G의 빠른 채택에 관한 백서를 발표하여, 새로운 광대역 보급 목표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잠재적인 규제 전략을 권장함. 백서는 2020년과 2024년에 기술 및 도시/도시 외 지역을 구분하여 5G의 보급률 및 속도 목표를 설정할 것을 제안하고, 인프라 구축 관련 규정의 개선, 우편 및 통신부서의 국가 인프라 구축 임무 담당을 권장하며 추가 스펙트럼 출시 계획 역시 포함함
- 미얀마 중앙은행은 ‘미얀마 5개년 결제시스템 전략계획 2020-2025’를 수립하고 ‘미얀마 결제시스템 관리위원회 를’ 구성하고,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모바일 결제, 모바일금융 서비스를 포함하는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허용함. 특히 2023년 1월 네피도에서는 미얀마 중앙은행 총재와 모바일뱅킹을 운영하는 모든 민간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결제 개선 조정회의가 개최되어, 디지털 결제 활성화의 중요성 및 이를 위한 모바일 앱과 QR코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강조되었으며 모든 민영 은행들은 디지털 거래 활성화 계획을 제출할 것이 요구됨
ICT 유관기관 현황
- MIMU(Myanma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 (역사) 2007년 설립
(목적) 미얀마의 인도주의자 및 미얀마 개발 커뮤니티의 분석 및 의사 결정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 관리 서비스를 제공
(특징) UNDP와 다양한 미얀마 국내외 NGO, 자문위원회로부터 지원을 받음
- (역사) 2007년 설립
- MCIA(Myanmar Computer Industry Association)
- (역사) 1998년 설립
(목적) 컴퓨터 산업 관련 협회 협력 증진, 국내·외 컴퓨터 기업 비즈니스 미팅 행사 기획
(특징) 컴퓨터 공학 발전법(1996년)을 따름
- (역사) 1998년 설립
- Myanmar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Association
- (역사) 2019년 설립
(목적) 사모펀드와 벤처캐피털 투자 진흥
(특징) 기관투자자 그룹, 독립된 비영리기관
- (역사) 2019년 설립
- MCPA Myanmar(Myanmar Computer Professionals Association)
- (역사) 1998년 설립(1996년 컴퓨터 공학 진흥법에 따라 설립)
(목적) 컴퓨터 공학발전 진흥
(특징) 미얀마 ICT 관련 협회 중 가장 큰 협회
- (역사) 1998년 설립(1996년 컴퓨터 공학 진흥법에 따라 설립)
- MCF(Myanmar Computer Federation)
- (역사) 1998년 설립
(목적) ICT를 통한 미얀마 현대화에 기여
(특징) 컴퓨터 관련 모든 공식기관의 상위기관 (관련협회, 워킹그룹, 기술위원회 등)
- (역사) 1998년 설립
협력현황
- 전주대-미얀마 노블대, 인공지능 등 IT 계열 인재육성 협약 (2023.08.02)
- 고미코퍼레이션, 미흥글로벌과 미얀마 시장 진출 (2023.07.31)
- 예당미디어, 미얀마 국영방송 MRTV와 문화 교류 협약 (2023.07.28)
- 한국 산림청, 그린 ODA 미얀마 등 확대해 국제 산림 협력 주도 계획 (2023.07.27)
- 포스코인터, 2024년 미얀마 LNG 관련 가스전에 승압 플랫폼을 구축해 생산량 확대 계획 (202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