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아시아 태평양 대만
수도 | 타이베이 | 인구 | 2,357만 명('23, IMF) |
---|---|---|---|
면적 | 35,960㎢ (한반도의 0.2배) | 민족 | 한족계 본성인 |
언어 | 중국어(만다린어) | 종교 | 도교, 불교, 기독교, 기타 |
기후 | 아열대 동북 몬순 기후 | ||
FTA체결여부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1 | 2022 | 2023 |
---|---|---|---|---|
GDP | 억 달러 | 7,757 | 7,616 | 7,888 |
1인당 GDP | 달러 | 33,190 | 32,640 | 33,642 |
경제성장률 | % | 6.5 | 2.5 | 0 |
무역현황
※ 기준 : 2022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대만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2,066,837 | 4,477 | 0.02% | N/A |
수입액 | 22,109,522 | 3,821 | 0.02% | N/A |
교역액 | 44,176,359 | 8,298 | N/A% | N/A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반도체
개황
대만 당국은 대만을 안전하고 회복 탄력성이 높은 스마트 국가로 건설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가 사이버 보안 프로그램 2021-2024(National Cyber Security Program 2021-2024)’을 발표함. 해당 프로그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이버보안 연구 및 교육 허브로 발전, ▲선제적으로 방어 가능한 인프라 네트워크 구축, ▲안전한 사이버보안 환경 조성을 위한 민관 파트너십 구축을 목표로 함
2022년 5월 대만 부득담(Vu Duc Dam) 부총리는 과학기술 개발 및 혁신 전략 관련 결정 No. 569/QĐ-TTg에 서명함. 해당 결정은 2030년까지 과학·기술·혁신이 발전할 수 있는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됨. 또 대만이 현대 산업과 중상위 소득을 갖춘 개발도상국으로 발전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됨
- 대만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2023년 4월, ‘국가 핵심기술 보호 규정(The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al core key technologies)’을 발표하였고, 2023년 12월 행정원은 1차 핵심기술 목록을 발표함. 핵심기술 목록은 국방 기술, 우주 기술, 농업, 반도체, 정보통신 보안 등 5개 분야의 엄격한 통제 대상이 되는 22개 기술 항목으로 구성됨. 우주 기술 분야는 8개의 기술 항목이 포함된 가장 대표적인 분야임
ICT 유관기관 현황
- TIEC(Taiwan Innovation Entrepreneurship Center)
- (역사) 2015년 설립
(목적) 스타트업팀과 기업가, 벤처 캐피탈 회사 및 액셀러레이터를 연결
(특징) 대만 과학기술부 산하
- (역사) 2015년 설립
- TAITRA(Taiwan External Trade Development Council)
- (역사) 1970년 설립
(목적) 대만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및 외국 기업의 대만 진출 유치
(특징) 경제부 산하 비영리 단체로서 전 세계 63개국에 100여 개의 지사를 보유하여 해외 시장 정보 제공 및 현지 파트너 매칭 지원
- (역사) 1970년 설립
협력현황
-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 대만 방문해 HBM·AI 반도체 협력 모색 (2024.04.16)
- 서울디지털재단, 대만 스마트시티 전시회 ‘SCSE’에서 서울관 운영 (2024.03.20)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대만 표준화기관과 ‘5G 기술·6G 표준화’ 워크숍 개최 (2023.10.18)
- 한컴·케이단모바일, 대만 오피스 ‘케이단오피스’ 출시 (2023.09.18)
- 딥엑스, 대만·중화권 진출 본격화하며 ‘2023 컴퓨텍스 타이베이’ 참가 (2023.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