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아시아 태평양 호주
수도 | 캔버라 | 인구 | 2,597만 명('22, IMF) |
---|---|---|---|
면적 | 7,741,220㎢ (한반도의 34.7배) | 민족 | 영국계, 어보리진 등 |
언어 | 영어 | 종교 | 기독교, 무교 등 |
기후 | 열대성, 온대성, 대륙성 사막기후 등 지역별로 다양함 | ||
FTA체결여부 | 한-호주 발효(2014년 12월) RCEP 서명(2020년 11월)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
GDP | 억 달러 | 13,600 | 16,400 | 17,200 |
1인당 GDP | 달러 | 51,890 | 56,410 | 62,190 |
경제성장률 | % | -2.1 | 4.9 | 3.8 |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호주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2,066,837 | 344,139 | 1.56% | 19 |
수입액 | 22,109,522 | 263,283 | 1.19% | 24 |
교역액 | 44,176,359 | 607,422 | 1.37% | 21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정보보호
개황
호주 디지털 혁신청(DTA)은 호주 정부가 디지털·ICT 기능 재사용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디지털 및 ICT 재사용 정책'을 공동 개발함. 해당 정책은 가능할 때마다 재사용, 재사용을 위한 설계 및 구축, 타인이 재사용할 수 있도록 권장의 3가지 높은 수준의 요구사항으로 뒷받침됨
-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DISER)는 2022년 10월, '국가 퀀텀 전략' 관련 7가지 주요 목표에 대한 이니셔티브를 제안함. 해당 전략 목표에는 양자 기술의 개발·상용화·사용을 위한 환경 조성, 세계 최고의 양자 인프라에 대한 엑세스 지원, 호주의 국제 파트너십 및 리더십 강화 등이 있음
- 호주 정부는 기업이 사용자 정보가 암호화로 보호하더라도 정부 집행 기관의 요청이 있을 시 강제로 넘겨주는 것을 허용하는 '암호화방지법'을 통과시킴. 해당 법안에 따라 호주 정부 기관은 기술지원통지, 기술역량통지, 기술지원요청의 세 가지 통지 권한을 행사할 수 있음
ICT 유관기관 현황
- ACS(Australian Computer Society)
- (역사) 1966년 설립
(목적) 정보 기술의 전문적 우수성을 향상하고 호주 정보 통신 기술 자원의 개발을 촉진
(특징) 호주 전역에 48,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정보 통신 기술 전문가 협회
- (역사) 1966년 설립
- NICTA(National ICT Australia)
- (역사) 2002년 설립
(목적) 호주 경제발전을 위한 ICT 기술 연구
(특징) 2015년 CSIRO와 합병하여 Data61 법인 설립
- (역사) 2002년 설립
협력현황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서호주와 핵심광물 협력 약속 (2023.03.16)
- 두산퓨얼셀, 남호주와 수소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2023.02.09)
- 그린플러스, 호주법인 설립 (2023.01.13)
-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 호주,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만나 친환경 미래사업 논의 (2022.12.01)
- 한화큐셀, 삼성SDI 배터리로 호주 ESS 시장 공략 (20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