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아시아 태평양 뉴질랜드
수도 | 웰링턴 | 인구 | 516만 명(’21년 통계청) |
---|---|---|---|
면적 | 268,838㎢ (한반도의 1.2배) | 민족 | 유럽계 백인, 마오리족, 폴리네시아인 |
언어 | 영어 | 종교 | 개신교, 카톨릭 |
기후 | 온대지역에 속하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기후 나타남 | ||
FTA체결여부 | 한-뉴질랜드 발효(2015년 12월) RCEP 서명(2020년 11월)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19 | 2020 | 2021 |
---|---|---|---|---|
GDP | 억 달러 | 2,110 | 2,107 | 2,477 |
1인당 GDP | 달러 | 42,330 | 41,430 | 48,420 |
경제성장률 | % | 2.9 | -2.1 | 5.6 |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뉴질랜드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2,066,837 | 39,575 | 0.18% | 59 |
수입액 | 22,109,522 | 44,525 | 0.20% | 56 |
교역액 | 44,176,359 | 84,100 | 0.19% | 60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스마트ICT
개황
뉴질랜드 기업혁신고용부(MBIE)는 경제개발부, 과학혁신부, 노동부, 건설주택부 등이 통합된 부처임.
최근 기술 부문 혁신을 위해 '산업 전환 계획(ITP)'을 발표하고 첫 번째 단계로 2022년~2023년까지 전략이 제시됨. ITP는 정부와 산업계가 공동으로 설계한 이니셔티브로 디지털 기술 발전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저배출 사회로의 전환을 목표로 함.뉴질랜드 정부는 2021년 말 뉴질랜드 디지털 전략 '아오테아로아 디지털 전략'을 계획하고 공식 수립 단계에 있음. 해당 전략은 2032년 및 그 이후까지의 장기적 전략을 채택할 목적이며, 전략 구조는 크게 신뢰(Trust), 포함(Inclusion), 성장(Growth) 등 3가지로 구성됨. 뉴질랜드는 해당 전략을 통해 중소기업이 디지털 혁신의 기회를 얻고 성장과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준비,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디지털 세계 경험 등의 비전을 가짐.
뉴질랜드 통신보안국은 2021년 9월, '디지털 ID 신뢰 프레임워크' 초안을 의회에 제출하여 입법 단계를 거치고 있음. 디지털 ID 신뢰 프레임워크 법안은 보안, 개인정보보호, 신분증 관리 및 상호 운용성 관련 필수 요건을 충족하는 신뢰성 높은 디지털 I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디지털 ID의 광범위한 이점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ICT 유관기관 현황
- NZTech
- (역사) 2009년 설립
(목적) 기술을 통해 일자리 창출, 수출 성장 및 영향력을 통해 아오테아로아의 모든 사람을 위해 형평성, 지속가능성 및 번영을 집학적으로 끌어올리는 가치중심적 국가로 연결된 기술 커뮤니티를 지원하는 것
(특징)
- (역사) 2009년 설립
협력현황
- 삼성전자, QD디스플레이 TV 뉴질랜드 사전 예약 실시 (2022.07.05)
-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1개국 포함된 CPTPP 한국 가입 추진 중 (2022.06.20)
- 정부,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과 IPEF 범정부 대응체계 구축 (2022.06.08)
-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뉴질랜드 라이센스 취득 (2022.06.20)
- 위메이드, 뉴질랜드 게임 회사 '프로요 게임스'에 투자 (2022.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