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캄보디아, 수도, 인구, 면적, 민족, 언어, 종교, 기후, FTA체결여부 정보 제공
수도 프놈펜 인구 1,599만 명('21, 통계청)
면적 181,035㎢ (한반도의 0.8배) 민족 크메르족, 베트남계 등
언어 크메르어 종교 불교, 이슬람교, 가톨릭교 등
기후 열대 온순 기후
FTA체결여부 ASEAN 발효(2007년 06월)
한-캄보디아 4차례 협상 개최(2020년 07월 ~ 2020년 11월)
RCEP 서명(2020년 11월)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정보 제공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GDP 억 달러 754.1 739.3 793.2
1인당 GDP 달러 1,740 1,610 1,660
경제성장률 % 7.1 -3.1 3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무역현황 - 구분, 전세계, 비중, 순위 정보 제공
구분 전세계 캄보디아 비중 순위
수출액 22,066,837 18,262 0.08% 75
수입액 22,109,522 29,383 0.13% 64
교역액 44,176,359 47,645 0.11% 68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핀테크
개황
    • 캄보디아 재정경제부(MEF)는 2021년 6월 '디지털경제 및 사회정책 프레임워크 2021-2035'를 발표함. 캄보디아 당국은 장기적인 ICT 정책 프레임워크를 통해 경제, 사회 분야 국가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자 함. 

    • 국가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지원하기 위해 우정통신부(MPTC)는 '캄보디아 디지털 정부 정책 2022-2035'이 발표됨. 이는 디지털 정부 수립으로 인한 더 나은 공공 서비스 제공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 향상 및 신뢰도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2021년 캄보디아 산업과학기술혁신부(MISTI)는 과학기술혁신(STI) 정책 시행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과학 기술 혁신 로드맵 2030' 초안을 발표함. 캄보디아 당국은 해당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 중상위 소득 국가로, 2050년까지 고소득 경제 국가로 도약하는 목표를 세움

  • ICT 유관기관 현황
    • Eurocham Cambodia
      • (역사) 2011년 설립
        (목적) 캄보디아 ICT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보장하고 캄보디아를 지역 경쟁력 있는 디지털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공동이니셔티브에 기여
        (특징) 기술 서비스 또는 ICT 부문의 정보 공유 및 토론을 위한 플랫폼
    • ICT4D Cambodia Network
      • (역사) 2012년 설립
        (목적) NGO와 ICT 실무자가 필요, 경험 및 협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특징)  InSTEDD iLabs South East Asia, EWMI, ODC 및 WMC에서 CSO를 위한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및 파일럿 솔루션을 개발하고 CSO 및 관련 직원의 요구 사항을 위한 개방형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구현한 최근 및 최신 프로젝트를 지원
    협력현황
    • 과기정책연 ODA 사업으로 캄보디아 '국가과학기술로드맵' 채택  (2022.07.12)
    • 국민은행, 캄보디아에 QR페이·비대면 신용대출 출시  (2022.06.29)
    • 엠블, 태국석유공사 캄보디아 지사와 '캄보디아 전기차 인프라 구축' 협력 체결  (2022.06.20)
    • JB전북은행, '캄보디아 실시간송금 서비스' 출시  (2022.05.23)
    • 신한은행, 엠블과 협업해 자동차 금융 상품 'E-툭툭' 대출 출시  (2021.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