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아시아 태평양 라오스
수도 | 비엔티안 | 인구 | 748만 명 (21' 통계청) |
---|---|---|---|
면적 | 236,800㎢ (한반도의 1.1배) | 민족 | 라오족, 소수민족으로 구성 |
언어 | 라오스어 | 종교 | 소승 불교,기독교,무슬림 |
기후 | 남부: 열대 몬순 기후 북부: 온대 동계 건조 기후 | ||
FTA체결여부 | ASEAN 발효(2007년 06월) RCEP 서명(2020년 11월)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19 | 2020 | 2021 |
---|---|---|---|---|
GDP | 억 달러 | 187.9 | 185.2 | 185.5 |
1인당 GDP | 달러 | 2,620 | 2,550 | 2,510 |
경제성장률 | % | 4.7 | -0.4 | 2.1 |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라오스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2,066,837 | 7,753 | 3.51% | 99 |
수입액 | 22,109,522 | 6,482 | 2.93% | 118 |
교역액 | 44,176,359 | 14,235 | 3.22% | 99 |
ICT 현황
개황
2021년 4월 라오스 정부는 간담회를 통해 국가 디지털 경제전략(2021-2030)을 검토함. 라오스 국가 디지털 경제 전략의 목표는 생산 혁신 마케팅 디지털 경제 서비스에 있어, 디지털 기술과 혁신을 핵심 도구로 활용하는 것임. 이를 통해 사회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최빈국 국가 상태를 극복하도록 준비하고자 함
라오스 정부는 구각 디지털 경제 전략(2021-2030)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 14개의 개발 프레임워크 및 관련 활동을 계획함. 이하 목표는 향후 5년 이내에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전자 결제, 전자 물류를 포함한 물리적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 및 해당 부문 개발
- 디지털 기술과 전자상거래를 사용하는 국내 기업가의 역량 강화
- 관공서용 e-office 관리 시스템 성공적 출시 등라오스 기획투자부(MPI)는 2021년 5월 9차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2021-2025)을 발표함. 해당 계획은 라오스 사회경제 발전 2025 국가 전략 및 비전 2030의 이행을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함. 9차 국가사회경제개발계획에서 강조하는 ICT 관련 계획은 이하와 같음
- ICT 혁신 개발 및 적용
- 통신, ICT 및 디지털 인프라 개발
ICT 유관기관 현황
- Lao ICT Commerce Association(LICA)
- (역사) 2005년 설립
(목적) ISP,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공급업체, 소프트웨어 개발자, ICT 교육 및 교육기관과 같은 ICT 관련 비즈니스 간의 협력을 구축하고 유지하려는 의도로 설립됨
(특징) -LNCCI(Lao National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산하 체신부 주관
-IT 전문가, IT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회사, ISP 및 IT 인적자원개발 회사를 그룹화하는 상위 협회
- (역사) 2005년 설립
협력현황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라오스 최초 '과학기술 마스터플랜' 수립 워크숍 개최 (2022.10.04)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ICT 역량 강화 위해 'K-Lab' 라오스 개소 (2022.09.15)
- 상명대, 라오스기업인 대상 최고경영자과정 3기 성료 (2022.09.08)
- 한-라오스 외교장관회담 진행 (2022.09.06)
- 국토부, 한-아세안 포럼서 스마트 모빌리티 협력방안 논의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