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문정보

40여 개 국가별 ICT 사업 동향, 20여 개 품목별 ICT 시장동향,
해외진출전략 가이드, 글로벌 전문가 오피니언을 통해
글로벌 ICT 전문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카자흐스탄, 수도, 인구, 면적, 민족, 언어, 종교, 기후, FTA체결여부 정보 제공
수도 아스타나 인구 1,935만 명('21, 통계청)
면적 2,724,900㎢ (한반도의 12.3배) 민족 카자흐인, 러시아인, 우즈베크인 등
언어 카자흐어 종교 이슬람교, 동방 정교회, 기독교 등
기후 계절변화가 뚜렷한 대륙성 기후
FTA체결여부 EAEU 한-러 정상회담 계기, FTA 협의를 위한 공동 실무작업반 설치 합의(2017년 09월)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정보 제공
경제지표 단위 2019 2020 2021
GDP 억 달러 1,817 1,711 1,909
1인당 GDP 달러 9,450 9,060 9,980
경제성장률 % 1.5 -2.6 4

무역현황

※ 기준 : 2021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무역현황 - 구분, 전세계, 비중, 순위 정보 제공
구분 전세계 카자흐스탄 비중 순위
수출액 22,066,837 62,591 0.28% 47
수입액 22,109,522 42,423 0.19% 57
교역액 44,176,359 105,014 0.24% 53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디바이스
개황
    • 아스타나 허브 프로그램은 디지털 카자흐스탄 정책에 따라 ICT 산업의 첨단 혁신 기술을 갖춘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추진됨. 2022년에는 프리랜서스쿨, 스케일러레이터, 스타트업 스페이스 등 ICT 스타트업 문화의 개발과 경제발전을 위한 첨단 기술 프로젝트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디지털 카자흐스탄, 2022년 세계 정보통신 기술 개발지수 30위를 목표함. 해당 정책은 카자흐스탄 경제 발전 속도 가속화, 시민 생활 질 향상을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경제 및 거버넌스 구조를 디지털화하여 석유/가스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정부 투자 정책임.

    • 카자흐스탄 정부는 국가의 신정책 노선으로서 ‘카자흐스탄 2050(Kazakhstan 2050)’ 비전에 따라 정보통신 산업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추진함. 카자흐스탄이 ‘50년까지 세계 30대 선진국에 진입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를 위해 새로운 경제발전 모델과 전략을 제시함


  • ICT 유관기관 현황
    • QAZTECH VENTURES
      • (역사) 2019년 설립
        (목적) 기술창업 진흥
        (특징) 2019년 NATD(National Agency for Technology Development)에서 QAZTECH VENTURES로 전환
    협력현황
    • 카자흐스탄, 삼성전자에 공동사업 추진  (2021.10.06)
    • 데이터스트림즈, 아스타나 엑스포에서 빅데이터 기술력을 전파 및 ICT 발전 방향 제언  (2022.04.20)
    • 한국무역정보통신, 한국형 디지털 무역 시스템 수출 재개  (2022.05.30)
    • 현대차, 카자흐스탄 조립공장 2배 증산  (2022.05.26)
    • 탈라스디에이, 카자흐스탄 보안업체 '쿠제트911'와 업무협약 체결  (2021.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