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유럽 폴란드
수도 | 바르샤바 | 인구 | 3,662만 명('22, IMF) |
---|---|---|---|
면적 | 306,170㎢ | 민족 | 폴란드인 |
언어 | 폴란드어 | 종교 | 가톨릭교 |
기후 | 해양성 기후와 대륙성 기후 | ||
FTA체결여부 | 한-EU FTA 전체 발효(2015년 12월) 한-EU FTA 이행위원회 개최(서울)(2020년 02월)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0 | 2021 | 2022 |
---|---|---|---|---|
GDP | 억 달러 | 5994.6 | 6814.3 | 6906.8 |
1인당 GDP | 달러 | 15,790 | 18,010 | 18,340 |
경제성장률 | % | -2 | 6.9 | 5.1 |
무역현황
※ 기준 : 2022, 천 달러, 출처: 관세청
구분 | 전세계 | 폴란드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4,655,530 | 360,542 | 1.46% | 21 |
수입액 | 25,173,089 | 381,187 | 1.51% | 18 |
교역액 | 49 | 758 | 1.52% | 20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게임 산업
개황
- 2020년 12월 폴란드 각료회의는 폴란드 AI 분야의 사회·경제·과학 발전을 포괄하는 단기(2023), 중기(2027), 장기(2027년 이후) 목표를 명시한 AI 개발 정책을 통과시켰으며, AI 개발과 관련하여 ‘AI 정책 태스크포스(AI Policy Task Force)’, ‘노동 시장을 위한 AI 관측소(AI Observatory for the Labor Market)’, ‘AI 입법팀(AI Legislative Team)’ 등을 설립함
- 2023년 1월, 일반 목표 및 디지털 목표를 설정하여 유럽연합의 디지털 전환 발전 방향을 설정하고, 유럽 기관과 회원국 간의 협력을 구조화하며 일관되고 투명한 모니터링 및 보고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내용의 로드맵인 ‘디지털 10년 정책 로드맵 2030(Roadmap to the Digital Decade 2030)’이 발효됨
- 폴란드 각료회의는 27억 8,900만 즈워티(약 8,990억 6,204만 원) 예산이 할당된 ‘디지털 역량 개발 프로그램 2023~2030(Programem Rozwoju Kompetencji Cyfrowych)’ 추진 관련 결의안을 채택하였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사회 디지털 역량 수준을 높이고 디지털 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
ICT 유관기관 현황
- Polish Chamber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lecommunications
- (역사) 1993년 설립
(목적) ICT 산업 발전을 위해 디지털 혁신의 구현을 지원하는 합리적인 규정 제정 및 ICT 산업과 공공행정의 파트너십 협력
(특징) ICT 산업 회사의 경제적 이익을 대변, 국가의 디지털 개발과 현대화의 규정과 절차 수립, 역량, 프로세스 및 모범 사례 장려
- (역사) 1993년 설립
- The National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NCRD
- (역사) 2009년 설립
(목적) 폴란드 경제, 사회의 실제 요구로 인한 R&D 문제 정의 및 솔루션 구현
(특징) R&D 프로젝트의 공동 자금 조달을 통해 과학 및 비즈니스 세계를 통합하는 폴란드 교육 과학부의 집행기관
- (역사) 2009년 설립
협력현황
-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폴란드에 유럽 CE인증 부여하는 핵심 거점 구축 (2023.10.25)
-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폴란드 개발 기술부와 경제 회담 진행 (2023.08.23)
- 한국로봇산업협회, 한-폴란드 양국 로봇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발전을 위한 MOU 체결 (2023.07.17)
- 카카오모빌리티, 폴란드 경제사절단 동행 및 기술 교류 방안 논의 (2023.07.16)
- 현대엔지니어링, 폴란드 및 우크라이나서 모듈러 사업협력 체결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