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ICT 산업동향
보고서

중동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수도 | 아부자 | 인구 | 2억 2,271만 명('23, IMF) |
---|---|---|---|
면적 | 923,768㎢ (한반도의 4.2배) | 민족 | 하우사족, 풀라니족 등 |
언어 | 영어 | 종교 | 기독교, 이슬람교 등 |
기후 | 해안지대는 열대우림, 내륙부는 열대 사바나 | ||
FTA체결여부 | (미체결) |
경제지표
※ f : 전망치(forecasts), 출처: IMF
경제지표 | 단위 | 2021 | 2022 | 2023 |
---|---|---|---|---|
GDP | 억 달러 | 4414.2 | 4773.8 | 2 |
1인당 GDP | 달러 | 527.4 | 2,090 | 2,200 |
경제성장률 | % | 1,112 | 3.6 | 3.3 |
무역현황
※ 기준 : 2022년, 백만 달러, 출처: KITA
구분 | 전세계 | 나이지리아 | 비중 | 순위 |
---|---|---|---|---|
수출액 | 24 | 63 | 0.26% | 52 |
수입액 | 655 | 262 | 6.5% | 52 |
교역액 | 530 | 60 | 0.25% | 53 |
ICT 현황
유망 수출 품목
- 디지털 전환(DX)
개황
- 2023년 5월 나이지리아 연방 집행위원회(Nigeria's Federal Executive Council)응 석유 및 가스 부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경제를 다각화하려는 목적으로 '나이지리아 국가 블록체인 정책(National Blockchain Policy for Nigeria)'을 채택하고, 나이지리아 통신디지털경제부(FMoCDE)는 나이지리아 국가 블록체인 정책 구현에 관한 국가위원회를 출범하여 블록체인 기술 및 규제 수단의 개발을 촉진함
- 나이지리아는 2023년 6월 데이터보호법안이 시행되었음. 나이지리아 데이터보호법 이전에는 2019년 나이지리아 데이터 보호규칙(DNPR) 및 2019 나이지리아 데이터 보호 규칙의 적용을 받았으나, 해당 법안의 공백을 메우고 기존 데이터보호 기관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을 위하여 새로운 법안이 탄생하게 됨. 나이지리아 데이터보호법 2023은 데이터 관리자 및 처리자가 나이지리아에 거주하거나 나이지리아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 적용됨
- 2023년 8월, 나이지리아 국가 정보 기술 개발청(NITDA)는 디지털 경제 부문에서 청년들을 위해 백만 개가 넘는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볼라 티누부(Bola Tinubu) 대통령의 비전에 따라 2030년까지 95%의 디지털 활용 능력을 달성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국가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NDLF)'를 공식적으로 시작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지식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고자 함
ICT 유관기관 현황
- The High Tech Centre for Nigerian Women and Youths
- (역사) 2004년 Omowunmi Hassan 박사에 의해 설립
(목적) ICT 분야에 대한 여성과 청소년의 잡근 기회 및 역량을 강화함
(특징) 기업 업무 위원회(Corporate Affairs Comission)의 1990년도 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비정부기구(NGO)
- (역사) 2004년 Omowunmi Hassan 박사에 의해 설립
협력현황
- 문체부, 나이지리아 방송사 AIT와 협업해 한국 드라마 방영 (2023.08.29)
- 노을, 나이지리아에 말라리아 진단 가능한 '마이랩' 공급 (2023.08.02)
- 올림플래닛, 나이지리아 대표단에 '메타버스 3D 가상공간' 기술 선봬 (2023.07.11)
- SK·LG 전자, 나이지리아 부통령 만나 현지 투자 논의 (2023.06.28)
- 삼성전자·에어텔 나이지리아, 5G 통신장비 공급계약 (202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