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ATA[CONEX ::: 정보통신방송해외정보시스템 ::: - 최신정보]]> https://www.globalict.kr/ ko <![CDATA[2025. 7. 04 (금)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인텔리빅스-이삭엔지니어링, 동남아에 한국형 생성형 AI 심는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인튜브, AI 기반 에듀테크 플랫폼으로 홍콩 교육박람회 참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락인컴퍼니, 헝가리 IT 유통기업 포티스와 협력해 유럽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프로토타이, 우즈베키스탄 국영 IT기업 UZINFOCOM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딜라이트룸, 日 앱 마케팅 기업 ‘aix’에 투자 ··· 앱 광고 수익화 솔루션 경쟁력 제고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7. 04 (금) 글로벌 ICT 일일동향> 미국, 대중국 칩 디자인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해제 外]]> [글로벌/정책] 미국, 대중국 칩 디자인 소프트웨어 수출 제한 해제

미국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가 중국에 대한 칩 설계 소프트웨어 판매의 수출 허가 요건을 해제하면서 시놉시스(Synopsys Inc), 케이던스 디자인 시스템즈(Cadence Design Systems Inc), 지멘스(Siemens) 등 주요 공급사들이 영향을 받게 됐다. 이번 정책 전환은 워싱턴과 베이징 간 무역협정의 일환으로, 양국이 특정 기술 제한을 완화하기로 합의한 결과다. 지멘스는 이미 중국 고객사들에 대한 소프트웨어 접근권을 전면 복구했으며, 시놉시스와 케이던스도 서비스 재개를 진행 중이다. 이번 제한 해제는 지난 5월 베이징의 희토류 수출 제한에 대응해 시행했던 전자설계자동화(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도구 규제 완화 조치의 후속 결정이다.

이번 결정은 기존에 협상 불가능했던 수출 통제를 무역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았다는 점에서 미국 무역 정책의 중대한 전환을 의미한다. 미국이 엔비디아(Nvidia) 칩 수출 제한은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EDA 소프트웨어 양허는 워싱턴 관료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의 타협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전 국무부 자문관 라이언 페다시우크(Ryan Fedasiuk)는 EDA 제한이 화웨이의 칩 개발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중국 기업들이 대체 공급업체를 찾거나 자체 기술 개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출처 - Taipei Times, US lifts chip design software curbs on China, 2025년 07월 04일


[글로벌/시장] 이스라엘 퀘드마, IBM 등으로부터 2,600만 달러 투자 유치

이스라엘 양자컴퓨팅 스타트업 퀘드마(Qedma)가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글리롯캐피탈파트너스(Glilot Capital Partners), 한국투자파트너스 등으로부터 시리즈A 투자 2,600만 달러(약 354억 원)를 유치했다. 퀘드마의 주력 제품인 큐셈(Qesem)은 양자 오류 완화 소프트웨어로, 알고리즘 실행 및 후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패턴을 분석해 오류를 억제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도릿 아하로노프(Dorit Aharonov) 퀘드마 공동창업자 겸 최고과학책임자는 이 기술을 통해 현재 하드웨어에서 최대 1,000배 더 큰 양자 회로를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금은 퀘드마의 연구원,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영업직 인력을 현재 40명에서 50~60명 규모로 확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지난 9월부터 퀘드마의 소프트웨어는 IBM의 키스킷(Qiskit) 기능 카탈로그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아이온큐(IonQ)의 아리아(Aria) 컴퓨터에서 데모를 진행하고 일본 리켄(RIKEN) 연구소와 같은 주요 연구기관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양자 하드웨어 제조사와 금융, 화학 분야의 최종 사용자들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Israeli quantum startup Qedma just raised $26 million, with IBM joining in, 2025년 07월 03일


[글로벌/시장] 딥시크, 글로벌 AI 인재 확보 경쟁 본격화

항저우에 본사를 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베이징과 항저우 사무소의 인공일반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관련 직무 3개를 포함해 총 10개의 신규 채용 공고를 링크드인(LinkedIn)에 게시하며 글로벌 인재 영입에 나섰다. 중국어로 작성된 이번 채용 공고는 2025년 초 중국 채용 플랫폼에 올린 유사 공고 이후 수개월 만에 처음으로 링크드인에 게시된 것으로, 2021년 링크드인의 중국 시장 철수 이후 국제 인재 유치를 위한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딥시크의 글로벌 채용 확대는 구글(Google), 오픈AI(OpenAI), 메타플랫폼스(Meta Platforms) 등 미국 주요 기술 기업들의 공격적인 AI 인재 확보 경쟁과 맥을 같이한다. 이러한 인재 확보 경쟁은 메타가 스케일AI 창업자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과 전 깃허브(GitHub) CEO 냇 프리드먼(Nat Friedman)이 주도하는 '초지능' 연구소를 설립하고,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딥마인드(DeepMind) 공동창업자 무스타파 슐레이만(Mustafa Suleyman)을 AI팀 CEO로 영입하는 등 업계의 주요 인사 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출처 - Gadgets Now, Chinese AI startup that ''shocked'' biggest American tech companies is hiring big time, 2025년 07월 03일


[글로벌/시장] 오픈AI,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위해 오라클과 대규모 컴퓨팅 파워 계약 체결

오픈AI가 스타게이트 합작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사업 운영을 위한 데이터센터 용량 약 4.5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오라클(Oracle)로부터 임대하기로 합의했다. 오라클은 규제 당국 제출 문서를 통해 2028 회계연도부터 연간 300억 달러(약 40조 8,900억 원) 규모의 클라우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으며,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이 계약의 일부를 구성한다. 텍사스 데이터센터 부지를 1.2기가와트에서 2기가와트로 확장하는 것을 시작으로 미시간, 위스콘신, 와이오밍 전역에 추가 부지를 검토 중이다.

오픈AI는 최근 오라클, 소프트뱅크그룹(SoftBank Group), 엔비디아(NVIDIA), 시스코(Cisco)와 협력해 아랍에미리트(UAE)에 첫 해외 스타게이트 AI 캠퍼스를 설립했다. 오픈AI와 소프트뱅크그룹은 5,000억 달러(약 681조 원) 규모의 미국 프로젝트를 영국, 독일, 프랑스 등으로 확대할 계획을 검토하고 있으며, 오라클과 파트너사들은 오픈AI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미국 전역에 다수의 데이터센터 건설을 준비하고 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OpenAI to rent computing power from Oracle, 2025년 07월 03일


[중국/기술] 중국 바이두, AI 통합한 검색엔진 10년 만에 대대적 개편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Baidu)가 첨단 AI 기능을 통합해 10년 만에 최대 규모의 플랫폼 업그레이드를 단행했다. 이번 개편에서 바이두는 검색창 문자 제한을 28자에서 1,000자 이상으로 확대하고, 대화형 검색 기능을 도입했으며, 음성·이미지·파일 기반 검색 기능도 추가했다. 또한 바이두는 에르니봇(Ernie Bot) 챗봇 기능을 통합해 검색 플랫폼에서 직접 사진, 텍스트,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했다.

이번 전략적 전환은 바이두가 딥시크(Deepseek) 등 신흥 AI 기업과 더우인(Douyin), 콰이서우(Kuaishou) 등 쇼트폼 동영상 플랫폼의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바이두는 2023년 에르니봇 출시로 중국 AI 시장의 선도 기업이 됐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인 알리바바(Alibaba)와 텐센트(Tencent)의 주가가 각각 30.5%와 20% 상승한 것과 달리 올해 주가 상승률이 2.5%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번 포괄적인 업데이트가 바이두의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경쟁사들에 대항해 AI 역량을 입증하기 위한 공수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출처 - CNBC (Tech), Like Google, China’s biggest search player Baidu is beefing up its product with AI to fight rivals, 2025년 07월 03일]]>
<![CDATA[[Weekly Issue][7월 1주] 글로벌 ICT 주간동향>미국, 새로운 반도체 정책 도입…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세액공제 35%로 확대 外]]> (정책) 미국, 새로운 반도체 정책 도입…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세액공제 35%로 확대
지난 7월 3일 미국 상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원 빅 뷰티풀 법안’을 통과시켜 반도체 제조업체 세액공제를 25%에서 35%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 중심 정책에서 세금 인센티브와 관세 중심으로 전환하여 2026년까지 미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 시설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아시아에 집중된 반도체 공급망을 미국으로 재편하고 중국의 첨단 기술 접근을 차단하려는 전략적 조치로 평가하며, 향후 인텔, TSMC, 마이크론 등 주요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 가속화 및 글로벌 반도체 산업 재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 메타, AI 인재 확보에 총력
메타가 최근 오픈AI 엔지니어들에게 1억 달러의 보너스를 제시하고, Scale AI의 49% 지분을 140억 달러에 인수하며 창업자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을 ‘Meta Superintelligence Labs’ 수장으로 영입하는 등 AI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장에서는 메타의 Llama 모델이 경쟁사 대비 기술적 열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마크 저커버그 CEO가 초지능AI 개발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행보로 평가했다. 아울러, 빅테크 기업들 간의 AI 인재 쟁탈전이 더욱 치열해지고 인건비 급등으로 인한 AI 개발 비용 증가가 업계 전반의 수익성에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기술) 테슬라, 오스틴에서 첫 '무인 자율배송' 시연 성공…완전 자율주행 차량 배송 현실화
지난 6월 27일 테슬라가 텍사스 오스틴 공장에서 고객 아파트까지 15마일을 ‘완전 무인 자율주행’으로 Model Y를 배송하는 데 성공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다만 2016년 조작 논란, 로보택시의 안전 문제, 대규모 상용화를 위한 기술 신뢰성 검증 등이 과제로 남아있어, 완전 자율주행 시대 실현을 위해서는 단발성 성공을 넘어 반복적이고 안전한 운행 능력 확보가 필수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CDATA[2025. 7. 03 (목)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와이엠엑스, 동남아 공략 본격화… 싱가포르·말련 '방산·AI' 기업과 기술 협력 MOU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스타에셋, K-FOOD 글로벌 진출 플랫폼 ‘TASTE GO’ 출범…베트남 시장 공략 본격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메가존클라우드, 이스라엘 클래시큐와 MOU…양자컴퓨팅 기술 상용화 협력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폭풍 성장하는 디지털의료 시장…韓·中 기업 손 잡고 투자 협력 확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인텔리빅스·이삭엔지니어링, 인도네시아 AIoT 시장 동반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7. 03 (목) 글로벌 ICT 일일동향> 메타, 전 스케일AI 최고경영자 영입해 엘리트 AI팀 신설 外]]> [미국/정책] 미국, 국내 반도체 제조업체 세액공제 확대 추진

미국 상원이 승인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근 지출 법안에 미국 내 설비를 구축하는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이 대폭 확대된다. 이 법안은 미국 내 제조시설을 건설하는 반도체 기업의 세액공제율을 현행 25%에서 35%로 인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인텔(Intel),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 계획을 지속할 경우 이 혜택을 받게 된다.

이번 세액공제 확대 조치는 최근 중국향 첨단 AI 반도체 수출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반도체 산업계에 중요한 시기에 나왔다. 중국에 대한 첨단 AI 반도체 수출 제한으로 다수의 미국 반도체 기업이 상당한 매출 손실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세제 혜택이 재정적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Techcrunch, US chipmakers could see bigger tax credits if Trump’s spending bill passes, 2025년 07월 02일


[글로벌/정책] 미국, 화웨이 기술 도용 혐의 형사고발 유지 판결

미국 뉴욕 연방지방법원은 지난 4일 화웨이(Huawei)가 미국 6개 기업의 기술 도용 의혹과 이란 영업 관련 은행 사기 등 16건의 형사 혐의 중 13건에 대한 기각 신청을 기각했다. 재판부는 화웨이가 브랜드 확장을 위해 조직적 범죄행위를 했다고 판단했으며, 검찰이 홍콩 소재 스카이콤(Skycom)이 화웨이의 이란 자회사로 운영되면서 1억 달러(약 1,320억 원) 이상을 미국 금융시스템을 통해 이체한 사실을 충분히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재판은 오는 2026년 5월 4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미국 법무부(DOJ, Department of Justice)가 2019년 중국 기술기업 화웨이를 형사 기소하면서 시작된 법적 절차가 계속될 예정이다. 당초 이 사건에는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 멍완저우(Meng Wanzhou)에 대한 은행 사기, 전신 사기, 공모 혐의가 포함되었으나, 캐나다에서 약 3년간 구금된 후 2022년 멍완저우에 대한 혐의는 기각되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US judge rules Huawei to face criminal charges, 2025년 07월 02일


[미국/시장] 메타, 전 스케일AI 최고경영자 영입해 엘리트 AI팀 신설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메타플랫폼스(Meta Platforms) 최고경영자가 오픈AI(OpenAI)와 구글(Google)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메타초지능랩스(MSL, Meta Superintelligence Labs) 신설을 발표했다. 메타는 최근 143억 달러(약 19조 원)를 투자한 스케일AI(Scale AI)의 전 최고경영자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을 영입해 새 조직을 이끌게 했으며, 깃허브(GitHub)의 전 최고경영자 냇 프리드먼(Nat Friedman)을 비롯해 오픈AI, 앤트로픽(Anthropic),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엔지니어들도 합류했다.

저커버그 최고경영자는 경쟁사의 최고 AI 인재 영입을 위해 최대 1억 달러(약 1,356억 원)의 사인온 보너스를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2025년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600억~650억 달러(약 81조~88조 원)의 자본 지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해 오픈AI는 최근 메타로 이직한 핵심 인력의 이탈을 막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Zuckerberg unveils Superintelligence Labs team, 2025년 07월 02일


[인도/시장] 인도 폭스콘, 기술 경쟁 심화로 중국인 기술자 철수 단행

폭스콘(Foxconn)은 최근 2개월간 인도 생산시설에서 중국인 엔지니어와 기술자 300여 명을 철수시키고, 인도 남부 공장에는 대만 지원 인력만을 잔류시켰다. 이러한 인력 재배치는 폭스콘이 아이폰17(iPhone 17) 생산을 준비하고 인도 내 신규 아이폰 조립시설 건설을 진행하는 중요한 시점에 이루어졌으며, 제품 품질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 확대 시기의 조립라인 효율성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는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 경쟁 제조업 거점으로의 기술 이전과 숙련 인력 수출을 제한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인도는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5분의 1을 담당하고 있으며, 애플(Apple)은 2026년 말까지 미국 수출용 아이폰의 대부분을 인도에서 생산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기술 인력 부족으로 인해 이 계획이 지연될 수 있어 중국과 인도 간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공급망 다변화의 복잡한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

출처 - Gadgets Now, Leave India…: Foxconn to hundreds of Chinese engineers and technicians working at iPhone factories in India, 2025년 07월 02일


[미국/기술] 아마존, 백만 대 로봇 배치와 AI 기반 로봇관리시스템 도입

아마존이 300여 개 시설에서 백만 대의 로봇을 가동하며 세계 최대 모바일 로보틱스 제조 및 운영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아마존은 전체 로봇 선단에 새로운 생성형 AI 모델인 '딥플릿(DeepFleet)'을 도입해 이동시간을 10% 단축하고 패키지 배송 효율을 높일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12년 로봇 배치를 시작한 이래 아마존의 자동화 역량은 단순 재고 선반 이동에서 567kg까지 들어 올릴 수 있는 로봇과 고객 주문을 완전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로 발전했다.

아마존의 로봇 프로그램 확대는 인력 자동화와 일자리 대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는 가운데 진행되고 있다. 스콧 드레서(Scott Dresser) 아마존 로보틱스 부사장은 로봇이 직원들에게 새로운 기술 기회를 창출한다고 강조하며, 슈레브포트(Shreveport) 시설의 경우 유지보수 및 엔지니어링 인력이 30% 증가했다고 밝혔다. 반면 앤디 재시(Andy Jassy) 아마존 최고경영자는 AI 자동화로 인한 특정 분야의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인정했다. 이는 다보스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 보고서가 밝힌 미국 기업 48%의 AI 관련 인력 감축 계획과 지난해 551개 기업에서 발생한 15만 3,000명의 기술 산업 인력 감축 추세와 맥을 같이한다.

출처 - CNBC (Tech), Amazon deploys its 1 millionth robot in a sign of more job automation, 2025년 07월 02일]]>
<![CDATA[2025. 7. 02 (수)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디디에이치, 바텍 플랫폼에 AI 진단 솔루션 탑재... 글로벌 확장 본격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AI 입찰 기업 ‘클라이원트’, 美 BPC서 존재감…亞 대표로 참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LG-유네스코, AI 윤리 교육 '본격화'…하버드·UN과 글로벌 프로젝트 '가동'
(상세 내용 새창 링크)

○"50조弗 시장" 정부 피지컬AI 육성 로드맵 만들어··· K철도 패키지 수출 나선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팝인보더, 큐텐재팬 공식 파트너로…“韓 셀러 日 진출 허들 낮춘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7. 02 (수) 글로벌 ICT 일일동향> 미국, 주정부 AI 규제 금지안 상원서 부결 外]]> [미국/정책] 미국, 주정부 AI 규제 금지안 상원서 부결

미국 상원이 주정부 차원의 인공지능(AI) 규제에 대한 10년간의 유예안을 99대 1로 압도적으로 부결했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세금 삭감 및 지출 법안에서 해당 조항이 제외됐다. 주요 기술 기업들이 지지했던 이번 규제 금지안은 중국과의 경쟁에서 미국의 우위를 약화시킬 수 있는 주별 규제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상무장관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엑스(X)를 통해 규제 기간을 5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마샤 블랙번(Marsha Blackburn) 상원의원은 금지령 삭제를 위한 개정안을 발의하면서, 처음에는 AI 시스템에 대한 과도한 부담을 피하면서 제한적인 주정부 규제를 허용하는 절충안을 제안했으나 이후 철회했다. AI 안전 옹호단체를 비롯한 비판론자들은 기업들이 고도화된 AI 모델을 성급하게 도입하려 할 경우 자율규제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으며, 상원의 강력한 반대는 경제적·사회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급변하는 기술에 대한 주정부의 규제 권한을 제한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반영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US Senate strikes down AI regulation ban, 2025년 07월 01일


[글로벌/시장] 마이크로소프트, 프리미어리그와 5년간 AI 파트너십 체결

마이크로소프트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와 5년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공식 클라우드 및 AI 파트너로서 디지털 플랫폼 현대화와 팬 경험 강화에 나섰다. 이번 파트너십은 오라클(Oracle)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계약이 지난 5월 종료된 이후 즉시 시작됐으며,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Copilot)이 구동하는 프리미어리그 전용 앱과 브라우저를 통해 팬들은 구단, 선수, 경기 관련 종합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오픈AI(Azure OpenAI)를 활용해 30개 시즌의 통계자료, 30만 건의 기사, 9천 건의 동영상을 처리하고 다국어 텍스트 및 오디오 번역 기능을 통합할 예정이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리그 판타지 축구 게임에 AI 기능을 도입하고, 애저 파운드리(Azure Foundry) 서비스로 실시간 데이터 오버레이와 경기 후 분석 기능을 제공해 생중계 경험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Microsoft scores 5-year Premier League AI deal, 2025년 07월 01일


[유럽/시장] EU, AI 기가팩토리 개발 이니셔티브에 높은 관심 집중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는 16개 EU 회원국으로부터 AI 기가팩토리 개발 구상에 76건의 관심 표명을 받아 압도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6월 20일 밝혔다. 헤나 비르쿠넨(Henna Virkkunen) EU 기술담당 최고책임자는 유럽 및 국제 기술 기업, 데이터센터 운영자, 통신사업자, 에너지 공급업체, 금융 투자자들이 최신 GPU 300만 대 이상을 확보하는 계획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번 이니셔티브는 60개 후보지에 4개의 AI 기가팩토리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200억 유로(약 32조 원)를 투입하는 계획이다. 현재 진행 중인 협의 단계에서는 자금 지원이나 공식 약속이 포함되지 않지만, EU는 연말까지 공식 제안 요청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는 EU의 AI 대륙 실행 계획의 일환으로 회원국 간 정책 조율을 위한 경쟁력 조정 도구의 시범 사업이 될 것이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EU indicates strong interest in AI gigafactory push, 2025년 07월 01일


[미국/시장] 구글, CFS와 핵융합 발전 전력구매 계약 체결

구글이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즈(CFS, Commonwealth Fusion Systems)와 200메가와트 규모의 전력구매 계약을 체결하며 핵융합 에너지 발전 분야에서 첫 상업적 이정표를 세웠다. CFS는 버지니아주에 건설 예정인 아크(Arc) 발전소를 통해 2030년대 초부터 전력망에 전기를 공급할 계획이며, 현재 매사추세츠주에서 400메가와트급 실증로 스파크(SPARC)를 개발 중으로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글은 2021년 CFS에 첫 투자를 단행한 이후 최근 2차 투자를 진행하며, 핵융합 발전을 기존 연료나 천연자원의 제약이 없는 혁신적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하고 있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분사기업인 CFS는 2018년 설립 이후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Tiger Global Management) 주도로 18억 달러(약 2조 3,400억 원)를 포함해 총 20억 달러(약 2조 6,000억 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Google inks fusion power deal, 2025년 07월 01일


[중국/기술] 중국, 차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용 배터리 기술 혁신 나서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현재 배터리 기술이 복잡한 작업에서 2시간의 구동시간만을 제공하며 핵심 제약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로봇의 수직 리프팅과 급속 가속 등 동작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은 일반 배터리 방전 속도의 100배 이상을 필요로 하는데, 엔진에이아이 로보틱스(EngineAI Robotics)와 엑스스퀘어 로봇(X Square Robot)과 같은 기업들은 현재 삼원계 리튬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나, 열 안정성과 에너지 밀도 문제로 로봇의 성능과 유연성이 제한되고 있다.

주요 배터리 제조업체들은 이러한 새로운 시장 기회에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대응하고 있다. 배터리 기업 닝더스다이(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은 베이징 소재 갤봇(Galbot)에 투자해 전문 로봇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으며, BTR 뉴머티리얼 그룹(BTR New Material Group)은 휴머노이드 로봇 전용 플렉스 반고체 및 가드 전고체 배터리를 출시했다. 이러한 신형 배터리는 분자 수준의 원위치 코팅과 리튬이 풍부한 망간 기반 양극재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 향상된 방전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8,700억 위안(약 156조 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전망이다.

출처 - 인민일보(Tech), New battery innovation boosts humanoid robot performance in China, 2025년 07월 01일]]>
<![CDATA[[GIP 성공사례] AI 기반 스마트 인프라 및 플랜트 예지보전 솔루션_이성균 팀장님(가온플랫폼(주))]]>
2019년 설립된 AI 소프트웨어 전문기업 가온플랫폼은 스마트팩토리, 프로세스 플랜트, 스마트시티, 스마트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예측진단 솔루션을 제공한다. 가온플랫폼의 서비스는 모두 모듈화된 구조로, 전력·설비 인프라가 부족한 국가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용 가능하며, 고가 외산 솔루션 대비 가격 경쟁력 및 기술 자립성을 확보하고 있다. 

가온플랫폼은 현재 몽골 국가재난청과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시티 기반 재난안전 플랫폼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며, 인도네시아 및 체코 등에서도 스마트 인프라 및 플랜트 예지보전 솔루션의 수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향후 베트남, 말레이시아,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 스마트 안전과 설비 유지보수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7월 1주] 글로벌 ICT 해외입찰정보]]>
1. (대만) 의료영상저장시스템 컴퓨터 시스템 유지보수(1년)
2. (중국) 중국생명재산보험(주) 인공지능 빅모델 플랫폼 응용 소프트웨어 및 기술 서비스
3. (미국) 수직형 지능형 네트워크 시스템 지원
4. (캐나다) 법원 서비스 정보 관리 시스템
5. (영국) 프로세스 영역 모바일 사설망 설치 프로젝트
6. (독일) 소프트웨어 개발, 컨설팅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레임워크 계약과 소프트웨어 품질 테스트를 위한 서비스
7. (나이지리아)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주변 장치 및 액세서리를 포함한 기술 부서 컴퓨터화
8. (사우디아라비아) 자산 관리 시스템 유지 관리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7. 01 (화)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스트라드비젼, AI 어워드 수상...SVNet으로 글로벌 무대 재조명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네이버클라우드, 사우디 뉴 무라바와 로봇·자율주행·스마트시티 기술 협력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남부발전, 스타트업 해외 진출 발판 마련…‘스스로 프로젝트 Prep 베트남’ 발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비욘드뮤직, 일본 스타트업 UTAGE3.0과 MOU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부산창경, 비수도권 스타트업 베트남 진출 지원…20개사 선정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7. 01 (화) 글로벌 ICT 일일동향> 테슬라, 오스틴에서 첫 '무인 자율배송' 시연 성공 外]]> [미국/정책] 미국 법무부, HPE의 주니퍼 네트웍스 인수 승인...140억 달러 규모

미국 법무부(DoJ, Department of Justice)는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 Hewlett Packard Enterprise)의 140억 달러(약 18조 6,200억 원) 규모 주니퍼네트웍스 인수를 승인했다. 이번 승인은 HPE가 180일 이내에 인스턴트온(Instant On) 무선랜 캠퍼스와 지점망 전환사업을 법무부가 승인한 매수자에게 매각하고, 주니퍼의 AI옵스 포 미스트(AI Ops for Mist) 소스코드에 대한 영구적이고 비독점적인 라이선스를 경매를 통해 제공한다는 조건으로 이루어졌다.

지난 1월 미국 법무부는 HPE와 시스코(Cisco)의 합산 시장 점유율이 70%를 초과할 것이라며 이번 합병이 기업 무선장비 시장의 경쟁을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토니오 네리(Antonio Neri) HPE 최고경영자는 이번 승인을 환영하며, 통합 기업이 고객에게 안전한 AI 기반 네트워킹 솔루션의 포괄적인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합의로 7월 9일로 예정됐던 재판은 취소되었으며, HPE는 AI 데이터센터와 서비스 제공업체, 클라우드 부문에서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DoJ greenlights HPE $14B Juniper deal, 2025년 06월 30일


[유럽/시장] 보다폰-AST 스페이스모바일, 2026년 유럽 위성통신 서비스 출시

보다폰그룹(Vodafone Group)과 AST 스페이스모바일(AST SpaceMobile)이 합작 위성벤처 '샛코'(SatCo)를 설립하고 2026년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두 기업은 디지털 인프라와 전략적 입지를 고려해 룩셈부르크를 본사로 선정했다. 지난 MWC 바르셀로나 2025에서 처음 공개된 이번 파트너십은 유럽 전역의 이동통신사업자들에게 위성 직접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21개 EU 회원국과 기타 유럽 국가의 통신사들로부터 사업 참여 의향을 확보했다.

샛코는 룩셈부르크 정부, 유럽 정책 입안자들, 산업계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통합 우주 전략을 통한 디지털 주권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마르게리타 델라 발레(Margherita Della Valle) 보다폰 최고경영자는 샛코가 유럽을 단말기 직접 연결 모바일 광대역 기술의 선도자로 자리매김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보다폰그룹, 버라이즌(Verizon), AT&T 등 주요 기업들이 이 계획을 지원하고 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Vodafone, AST reveal SatCo 2026 launch, HQ, 2025년 06월 30일


[글로벌/시장] 메타, 공격적 AI 인재 확보를 위한 대규모 투자 단행

메타 플랫폼스(Meta Platforms Inc.)가 생성형 AI 경쟁에서 격차를 좁히기 위해 오픈AI(OpenAI) 등 경쟁사 엔지니어들에게 1억 달러(약 1,354억 원) 규모의 보너스를 제공하는 등 AI 인재 확보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메타는 최근 스케일AI(Scale AI)의 지분 49%를 140억 달러(약 18조 9,560억 원) 규모에 인수하며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 전 최고경영자를 영입해 초지능 개발에 참여시켰다.

메타의 시장가치가 2조 달러(약 2,708조 원)에 근접하는 가운데, 기관투자자들은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최고경영자 체제 하의 현금흐름 관리와 무분별한 지출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CFRA 리서치(CFRA Research)의 안젤로 지노(Angelo Zino) 수석 애널리스트를 비롯한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AI 인재 영입이 단기 수익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필요한 투자라고 평가했다.

출처 - Taipei Times, Meta spending big on AI talent, but payoff unclear, 2025년 07월 01일


[글로벌/기술] 애플, 2028년까지 비전 프로 후속작과 스마트 안경 출시 계획 발표

저명한 애널리스트 궈밍치(Ming-Chi Kuo)의 최근 전망에 따르면, 애플(Apple)이 두 제품군에 걸쳐 최소 7개의 헤드마운트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라인업을 개발 중이다. 애플은 2025년 3/4분기에 M5 프로세서를 탑재한 비전 프로(Vision Pro) 신제품을 출시하여 15만~20만 대 출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27년에는 플라스틱 광학계와 마그네슘 합금 구조를 적용해 기존 비전 프로보다 무게를 40% 줄인 비전 에어(Vision Air)를 선보일 예정이다.

애플의 스마트 안경 로드맵에 따르면, 2027년 2/4분기부터 레이밴(Ray-Ban) 스타일 기기의 대량 생산을 시작하여 첫해 300만~500만 대 출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초기 스마트 안경은 디스플레이 기능 없이 음성 제어, 제스처 인식, AI 기반 환경 감지 기능을 탑재할 예정이며,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디스플레이와 웨이브가이드 기술이 적용된 고급형 XR 스마트 안경은 2028년 하반기 대량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출처 - Gadgets Now, Apple may launch more Vision Pro-like headsets than iPhones in next three years, 2025년 06월 30일


[미국/기술] 테슬라, 오스틴에서 첫 '무인 자율배송' 시연 성공

테슬라가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획기적인 자율주행 성과를 달성했다. 테슬라 공장에서 약 24킬로미터 떨어진 고객 아파트 단지까지 모델 Y SUV를 완전 무인으로 배송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테슬라의 오스틴 로봇택시 서비스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이 차량은 30분간의 주행 동안 고속도로 합류, 무보호 좌회전, 회전교차로 주행 등 복잡한 주행 상황을 완벽하게 처리했다. 일론 머스크(Elon Musk) 테슬라 최고경영자는 이번 배송이 원격 조종 없이 이루어졌으며, 차량 인도 후에는 기본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소프트웨어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이번 시연은 테슬라가 2분기 판매실적과 재무결과 발표를 앞둔 중요한 시점에 이뤄졌다.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 발전을 보여주는 이번 성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2016년 베이에리어 자율주행 시연과 마찬가지로 사전 경로 매핑이나 준비 과정이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이 제기한 가장 주목할 만한 비판은 차량이 소방차 전용구역에 주차된 것이었으나, 이는 기존의 안전 우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경미한 문제로 평가됐다.

출처 - TechCrunch,Tesla sends driverless Model Y from factory to customer to promote its robotaxi tech, 2025년 06월 30일]]>
<![CDATA[2025. 6. 30 (월)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K-이니셔티브] 국내를 넘어 세계로…K-기술 리더십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에스티씨랩, 일본 SaaS 시장 돌파…미국·글로벌 시장 본격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코마스 `M클라우드 솔루션`, 해외진출 박차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메디팜소프트, 심혈관 자가진단 및 AI 분석 솔루션…베트남 1차 수출 완료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파이오링크, 日 ‘오토박스’에 보안스위치·AP 3천 대 공급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30 (월) 글로벌 ICT 일일동향> 덴마크, AI 딥페이크 규제 위한 획기적 저작권법 발의 外]]> [유럽/정책] 덴마크, AI 딥페이크 규제 위한 획기적 저작권법 발의

덴마크 정부가 인공지능(AI) 무단 사용으로부터 시민의 신체적 특징과 얼굴, 목소리에 대한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여야 양당의 지지를 확보한 덴마크 문화부의 이번 법안은 딥페이크 콘텐츠 생성 및 유통에 대한 법적 보호 장치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야콥 엥겔-슈미트(Jakob Engel-Schmidt) 문화부 장관은 생성형 AI 오남용에 대한 현행 보호 체계의 미비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신체적 특징에 대한 명확한 권리를 확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덴마크의 포괄적 접근과 달리, 미국의 딥페이크 규제는 주 정부 차원에서 선거 방해와 비동의 노출 콘텐츠 규제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더욱이 미국은 연방 예산조정법안을 통해 향후 10년간 각 주의 AI 규제 권한을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이러한 상반된 규제 접근법은 AI 혁신과 개인의 권리 보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복잡한 과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Denmark clamps down on deepfakes by letting people copyright their own features, 2025년 06월 27일


[유럽/정책] 독일, 개인정보 보호 우려로 딥시크 앱스토어 퇴출 요구

독일 규제당국이 중국 인공지능 기업의 데이터 보호 관행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구글(Google)과 애플(Apple)에 딥시크의 앱스토어 퇴출을 요구했다. 마이케 캄프(Meike Kamp) 독일 데이터보호위원회 집행위원은 딥시크가 독일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중국으로 불법 이전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이는 호주, 이탈리아, 대만이 이미 서비스 차단 조치를 취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독일 데이터보호감독기구는 딥시크가 중국 내 서버에 개인정보와 업로드된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당국이 중국 기업들의 영향권 내에서 광범위한 개인정보 접근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캄프 집행위원은 딥시크가 독일 이용자의 데이터를 유럽연합(EU) 기준에 준하는 수준으로 보호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강조하며, 구글과 애플은 이번 요청을 검토해 앱 차단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Germany orders Google, Apple to block DeepSeek, 2025년 06월 27일


[미국/시장] 미국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 스테이블코인 결제 혁신 본격화

주요 기업과 금융기관이 스테이블코인을 적극 도입하면서 결제 시장의 판도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서클(Circle)이 지난 6월 상장 이후 주가가 최대 750%까지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입증했으며, 코인베이스(Coinbase)는 쇼피파이(Shopify)와 제휴해 USDC(USD Coin) 결제 시스템을 구축했다. 마스터카드(Mastercard)와 비자(Visa)는 디지털 자산 결제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마스터카드는 멀티토큰 네트워크에서 4개의 스테이블코인 지원을 발표했다.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소비자 보호와 준비금 요건을 규정하는 지니어스법(GENIUS Act)을 추진하는 가운데, 기업들의 스테이블코인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JP모건(JPMorgan)은 시중은행 예금으로 담보된 자체 토큰을 출시했으며, 결제처리업체 피서브(Fiserv)는 연간 900억 건의 거래를 보완하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표했다. 한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을 통한 트럼프 관련 스테이블코인 출시로 이해상충 우려가 제기되면서 규제 감독과 소비자 보호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출처 - CNBC (Tech), Stablecoins go mainstream: Why banks and credit card firms are issuing their own crypto tokens, 2025년 06월 28일


[글로벌/시장] 대만, 미국이 중국 제치고 대만의 최대 수출 상대국으로 부상

대만의 지난달 수출액이 517억 4,000만 달러(약 70조 5,733억 원)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미국이 전체 수출의 30%를 차지해 중국과 홍콩의 합산 점유율 27.2%를 상회했으며, 이는 AI(인공지능) 제품에 대한 강력한 수요와 ICT(정보통신기술) 및 오디오·비디오 분야의 지속적인 주문 증가에 기인했다.

치우 준롱(Chiou Jiunn-rong) 국립중앙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고소득 선진국인 미국 시장으로의 전환이 대만의 산업 발전과 임금 상승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최종 시장과의 긴밀한 연계는 대만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나, 전문가들은 AI 서버 단일 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미국의 예측 불가능한 정책 리스크에 대비해 수출 시장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출처 - Taipei Times, Exports to US surpass China, may aid Taiwan’s economy: Scholar, 2025년 06월 30일


[글로벌/기술] 구글, AI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탄소배출량 51% 급증

구글(Google)이 AI 운영을 지원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증가로 2019년 대비 탄소 배출량이 51% 급증했다고 발표했다. 전력 소비의 급증세가 이어져 2026년까지 구글 데이터센터의 예상 전력 소비량이 일본 전체 전력 소비량과 맞먹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글은 확장되는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적절한 저탄소 전기 솔루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Small Modular Reactor)가 데이터센터 탈탄소화의 잠재적 해결책으로 제시되었으나, 실제 구현 가능성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출처 - The Guardian, Google’s emissions up 51\\% as AI electricity demand derails efforts to go green, 2025년 06월 27일]]>
<![CDATA[[Weekly Issue][6월 월간동향] 양자컴퓨팅 상용화 전환점 도래 … 글로벌 경쟁 심화]]>
➢  미국과 중국의 양자기술 특허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일본의 74억 달러 투자로 다극 구조가 형성되고 있으며, 특히 Q-Day 위협에 대응한 양자통신 보안 기술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함

➢  향후 10년 내 양자컴퓨팅의 실용적 응용이 화학·제약·금융 분야에서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기업들은 양자기술 활용 전략과 보안 시스템 전환을 동시에 추진해야 하는 복합적 과제에 직면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DATA[美 대법원, 트럼프 관세 관련 신속 판결 요청 기각]]>
   - 2025년 6월 20일, 미국 대법원은 학용품 제조업체인 Learning Resources Inc.와 Hand2Mind Inc.가 제기한 관세 관련 소송의 신속 판결 요청을 기각함. 해당 소송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IEEPA(국제비상경제권한법)를 근거로 의회의 승인 없이 부과한 관세가 헌법상 권한을 초과한 것이라 주장한 것임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Thales, 싱가포르에 아시아 첫‘cortAIx’설립]]>
  - (목표) 신뢰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의 공동 개발 및 실증 기회
    * cortAIx는 Thales의 글로벌 AI 전략의 일환으로 전세계에서 운영중인 AI개발 허브로 프랑스, 캐나다, 영국에 이어 아시아 지역 최초로 싱가포르에 설립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NIC와 Google, '베트남 AI 미래 창조' 이니셔티브 확대]]>
○ 이번 협력은 2개의 신규 스타트업 교육 프로그램·AI 교육 과정 개설을 포함하며, 베트남 AI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및 디지털 전환 촉진을 주요 목표로 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EEAI 2025 포럼을 통해 베트남 교육의 AI 활용 현황]]>
 ○ 국내외 배경

  - 전 세계적으로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AI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업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음. 그중 교육 분야는 교사와 학습자를 지원하는 데 있어 AI의 적용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 평가받고 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셰이크 모하메드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 UAE 정부 개편 발표]]>  ○ (정부 개편) 모하메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대통령의 협의와 승인에 따라,셰이크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UAE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는 UAE 정부 개편 발표
  - 신설 부처인 외국무역부설립, Dr. Thani Al Zeyoudi 장관 임명, 기존 경제부는 경제 및 관광부로 명칭이 변경되며 Abdulla bin Touq가 수장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정의선 현대차 회장‘수출 퍼즐’, 튀르키예·인도 생산으로 완성]]>
  - 출처 : 인사이트코리아(https://www.insightkorea.co.kr)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6. 27 (금)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日 공략하는 韓 AI 스타트업...키워드는 '협업' 그리고 '신뢰'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해외 진출 신호탄 쏜 카카오…토스·케이뱅크 뒤따른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유라클·메타빌드, AWS 마켓플레이스 통해 해외 SaaS 시장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유큐브, 에티오피아 아다마 과학기술대 ERP 구축 ··· 글로벌 진출 본격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제이앤피메디, MCRA·IQVIA와 협력 국내 의료기기 기업 미국 진출 본격 지원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7 (금) 글로벌 ICT 일일동향> 미국, 주정부 AI 규제 10년 유예 검토 外]]> [미국/정책] 미국, 주정부 AI 규제 10년 유예 검토

트럼프 대통령의 국내 정책 법안에 포함된 논란의 조항이 주정부 차원의 인공지능(AI) 규제에 대해 10년간의 유예 조치를 제안해 규제 당국과 법률 전문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공화당 상원 상무위원회가 인터넷 인프라 연방 지원금과 연계한 이 조치로 선거, 채용 관행, 딥페이크 규제 등 AI 관련 기존 주법이 무력화될 전망이다.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제프 잭슨(Jeff Jackson) 법무장관을 비롯한 초당적 법무장관 40인 그룹이 이 조항이 소비자와 유권자 보호를 무력화할 수 있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나섰다.

잭슨 법무장관은 의회 경험을 토대로 연방 의원들이 모라토리엄 기간 동안 포괄적인 AI 규정을 제정할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은 회의감을 표명했다. 잭슨 법무장관은 특히 기술 기업들이 중국과의 경쟁력 유지를 주장하고 있음에도, 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와 소셜 미디어 규제에 실패했던 의회의 전례를 들어 AI 생성 허위정보와 딥페이크로 인한 유권자 기만 방지가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출처 - CNN, State regulator: Proposed 10-year moratorium on AI law enforcement is ‘extremely disconcerting’, 2025년 06월 26일


[글로벌/정책] 메타, AI 학습 관련 저작권 소송 승소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의 빈스 차브리아(Vince Chhabria) 판사는 사라 실버먼(Sarah Silverman)과 타-네히시 코츠(Ta-Nehisi Coates) 등 저명 작가들이 메타(Meta)를 상대로 제기한 저작권 소송에서 메타의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작가들은 메타가 인공지능(AI) 시스템 학습을 위해 자신들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며 저작권법 위반 혐의를 제기했으나, 차브리아 판사는 시장 피해에 대한 충분한 증거 부족을 이유로 소송을 기각했다.

이번 판결은 AI 기업의 저작권 보호 자료 학습 목적 사용에 관한 중요한 선례가 될 전망이다. 차브리아 판사는 작가들이 메타의 AI 시스템이 미국 저작권법상 저작물의 시장 가치에 미치는 불법적 영향이나 가치 희석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시했다.

출처 - The Guardian, Meta wins AI copyright lawsuit as US judge rules against authors, 2025년 06월 26일


[글로벌/시장] 소프트뱅크, 성층권 모바일 서비스 기업 스카이에 1,500만 달러 투자

소프트뱅크(주)가 고고도 플랫폼 스테이션(HAPS, High-Altitude Platform Stations) 전문 기업인 미국의 스카이(Sceye)에 1,500만 달러(약 203억 원)를 전략적으로 투자했다. 일본 통신사업자인 소프트뱅크는 2026년까지 HAPS 기술을 활용한 사전 상용 모바일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스카이의 경량 비행선을 활용해 성층권 통신 서비스 구축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2014년에 설립된 스카이는 현재까지 20회 이상의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으며, 미국 주정부 및 민간 기업들과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10월 뉴멕시코주에서 최대 75kg의 화물을 탑재할 수 있는 78미터 길이의 무인 태양광 항공기 선글라이더(Sunglider)의 현장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미야카와 준이치(Junichi Miyakawa) 소프트뱅크 사장 겸 최고경영자는 2017년부터 시작된 HAPS 상용화 노력이 기존 이동통신망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지역까지 서비스를 확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SoftBank ramps HAPS push with Sceye investment, 2025년 06월 26일


[미국/기술] 아마존 링, 스마트 도어벨용 AI 보안 경보 시스템 출시

아마존(Amazon)의 링(Ring)이 도어벨과 카메라로 감지한 움직임에 대해 간결한 텍스트 요약을 제공하는 AI 기반 알림 시스템을 새롭게 선보였다. 미국과 캐나다의 링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자를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이 기능은 움직임 감지 시 주요 대상을 설명하여 사용자가 보안 경보의 시급성을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11년 회사를 설립한 제이미 시미노프(Jamie Siminoff) 최고경영자가 복귀한 후, 링은 10억 달러(약 1조 3,000억 원)에 아마존이 인수한 2018년 이후 AI 기술을 제품 생태계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애플(Apple)과 구글(Google) 등 기술 기업들이 AI 도입 과정에서 여러 난관에 직면한 것처럼, 보안 제품의 AI 기능 구현은 업계 전반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사안이다. 링은 경찰 부서와의 협력 과정에서 인종 프로파일링 위험과 감시 문제 등 개인정보 보호 우려가 제기된 바 있으며, 이에 대응해 최근 경찰이 사용자의 영상을 직접 요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거하는 등 혁신과 프라이버시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출처 - CNBC (Tech), Amazon’s Ring launches AI-generated security alerts, 2025년 06월 25일


[중국/기술] 중국, 5G 기지국 450만 개 규모로 인프라 확대

중국 이동통신사업자들이 2025년 1월부터 5월까지 23만 5,000개의 기지국을 추가 구축하며 5G 네트워크 기지국 수가 총 450만 개에 육박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러한 5G 기지국은 현재 중국 전체 기지국의 35.3%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600만 개 이상의 LTE 기지국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은 가입자 수 기준 세계 최대 이동통신사로서 올해 34만 개의 5G 기지국을 추가로 구축해 총 280만 개의 기지국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의 신속한 인프라 확충으로 5G 네트워크 가입자 수가 11억 명에 근접하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차이나모바일은 2024년 1분기 기준 전년 대비 9,000만 명이 증가한 5억 7,800만 명의 가입자를 확보했다. 중국은 전 세계 5G 기지국 1,000만 개의 절반 가량을 보유하며 글로벌 5G 구축을 선도하고 있으며, 이는 2월 말 기준 47만 개의 5G 기지국과 2억 9,000만 명의 가입자를 보유한 인도를 크게 앞서는 수준이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China 5G base stations approach 4.5M, 2025년 06월 26일]]>
<![CDATA[[NIPA 성공사례] '유리천장'은 옛말…시장을 이끄는 여성 기업인의 성공 스토리_(주)신컴퍼니 김효신 대표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6. 26 (목)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K바이오랩허브·인천창경, 韓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싱가포르 진출 지원 앞장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콘센트릭스 CATALYST, 쇼피파이 공식 글로벌 파트너로 이커머스 사업 본격 확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한자리에 모인 한국·홍콩 기업인 “디지털 산업 협력 강화 방안 모색”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로지브라더스, AWE 2025 참가로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본격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오모션 등 K-스타트업 13개사, 日시장 진출 타진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6 (목) 글로벌 ICT 일일동향> 호주, 유튜브의 소셜미디어 규제 면제 조치 재검토 촉구 外]]> [미국/정책] 미국, 중국 등 적대국 AI 모델 정부 사용 금지 추진

미국 하원의원들이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이 개발한 AI 모델의 정부 기관 사용을 금지하는 '적대행위 없는 AI법(No Adversarial AI Act)'을 하원에 발의했다. 중국공산당특별위원회(Select Committee o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소속 의원들이 제출한 이 법안은 연방조달보안위원회(Federal Acquisition Security Council)가 해당국 AI 모델 제한 목록을 관리하고, 연구 목적의 제한적 예외를 제외한 모든 행정기관의 AI 모델 접근을 차단하는 상설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존 물레나르(John Moolenaar) 위원장이 적대적 AI 시스템으로부터 민감한 정부 네트워크를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등 국가 안보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이번 법안이 발의됐다. 최근 미 국무부 고위 관리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가 엔비디아(NVIDIA) 반도체 칩에 대한 접근권을 유지하면서 중국의 군사·정보 작전을 지원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딥시크가 최근 저비용 고성능 AI 시스템인 R1 AI 모델을 공개하며 미국의 수출 통제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AI 기술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이번 법안의 의미가 크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US politicians take aim at hostile AI systems, 2025년 06월 25일


[호주/정책] 호주, 유튜브의 소셜미디어 규제 면제 조치 재검토 촉구

호주 전자안전위원회(eSafety Commission) 줄리 인먼 그랜트(Julie Inman Grant) 위원장이 16세 미만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접근을 제한하는 획기적인 법안에서 유튜브의 면제 조치를 취소하도록 정부에 촉구했다. 규제 당국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튜브는 10~15세 어린이들의 유해 콘텐츠 노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해당 연령대 사용자의 37%가 유해 콘텐츠를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전에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스냅챗(Snapchat), 틱톡(TikTok) 등은 규제 대상에 포함시키면서도, 교육 및 건강 관련 콘텐츠 제공을 이유로 유튜브는 규제에서 제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유튜브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위원장의 권고가 일관성이 없고 모순된다고 비판하며, 정부 연구 결과에서 부모의 69%가 15세 미만 사용자에게 적합한 플랫폼이라고 평가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튜브의 레이첼 로드(Rachel Lord) 공공정책 담당자는 교사와 학부모들의 지지를 근거로 유튜브가 청소년 이용자에게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아니카 웰스(Anika Wells) 통신부 장관은 규제 당국의 권고를 검토하고 있으며, 최종 규정 확정 과정에서 소셜미디어로부터 아동 보호가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출처 - japan today, Australia regulator and YouTube spar over under-16s social media ban, 2025년 06월 25일


[글로벌/시장] 아마존, 400억 파운드 규모 영국 사업 확대 계획 발표

아마존이 향후 3년간 영국에 400억 파운드(약 74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아마존은 이 투자를 통해 전국에 4개의 물류센터와 다수의 배송센터를 신설하고, 기존 100개 이상의 시설을 현대화할 예정이며, 동런던 본사 확장과 전국 물류 인프라 개선을 통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고 중소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투자로 헐(Hull) 지역 신규 물류센터에 2,000명, 노스햄프턴(Northampton) 지역에 2,000명 등 다수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예정이며, 이는 아마존의 기존 영국 직원 7만 5,000명 규모에 추가될 전망이다. 앤디 재시(Andy Jassy) 아마존 최고경영자는 영국 전역에 대한 투자 의지를 강조했으며, 키어 스타머(Keir Starmer) 영국 총리는 이번 380억 파운드(약 70조 원) 규모의 GDP 기여 효과가 예상되는 투자를 영국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신뢰의 표시로 환영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Amazon pledges £40B UK investment, 2025년 06월 24일


[글로벌/기술] 구글, 개발자용 오픈소스 터미널 AI 도구 '제미니 CLI' 출시

구글이 개발자의 터미널에서 로컬로 구동되는 오픈소스 AI 도구 '제미니 CLI(Gemini CLI)'를 공개했다. 이 도구는 제미니 AI 모델과 자연어 상호작용을 통해 코드 설명, 기능 작성, 디버깅, 명령어 실행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미니 CLI는 구글의 '제미니 코드 어시스트(Gemini Code Assist)'와 '줄스(Jules)'를 포함한 AI 코딩 도구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되어 오픈AI(OpenAI)의 코덱스 CLI(Codex CLI)와 앤트로픽(Anthropic)의 클로드 코드(Claude Code)와 경쟁하게 됐다.

제미니 CLI는 코딩 기능을 넘어 베오3(Veo 3) 모델을 활용한 동영상 제작, 연구 보고서 생성, 실시간 구글 검색 접속 등 다목적 기능을 제공한다. 이 도구는 아파치 2.0(Apache 2.0) 라이선스로 출시되어 무료 사용자에게 분당 60회, 하루 1,000회의 모델 요청 한도를 제공한다. 그러나 2024년 스택오버플로우(Stack Overflow) 설문조사에 따르면 개발자의 43%만이 AI 도구의 정확성을 신뢰하며, 다수의 연구에서 AI 생성 코드의 오류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Google unveils Gemini CLI, an open-source AI tool for terminals, 2025년 06월 25일


[미국/기술] 코디악로보틱스, 베이와 자율주행 트럭 원격 운영 기술 강화

코디악로보틱스가 베이의 원격 주행 기술을 자율주행 트럭에 통합해 무인 운행 시스템을 한층 강화했다. 1월 17일 발표된 이번 협력은 코디악로보틱스가 페르미안 베이신(Permian Basin) 지역에서 무인 배송을 시작한 지난해부터 진행됐으며, 2026년 하반기 텍사스 공공도로에서 상용 무인 배송 서비스 출시와 스팩(SPAC) 합병을 통한 상장 계획의 핵심 동력이 될 전망이다.

이번 기술 통합은 스티어링 휠, 스크린,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베이의 원격 조작 시스템과 코디악로보틱스의 독자 개발 '어시스티드 오토노미(Assisted Autonomy)' 기술을 결합했다. 상용운전면허를 보유한 코디악로보틱스의 전문 인력들은 복잡한 공사 구간과 같은 저속 주행 상황에서 트럭을 원격으로 제어하며, 자율주행 시스템이 전반적인 제어와 안전 기준을 관리한다. 이미 1만 건 이상의 상용 운행 실적을 보유한 베이는 이번 협력을 통해 카셰어링을 넘어 상용 차량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게 됐다.

출처 - Techcrunch, Kodiak is using Vay’s remote driving tech in its self-driving trucks, 2025년 06월 25일]]>
<![CDATA[2025. 6. 25 (수)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더피어앤컴퍼니-베트남 국가창업지원센터, 현지 사업화 촉진 위한 전략적 업무제휴 체결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특징주]포시에스, 네이버와 AI 협력해 해외 진출…30년간 축적한 기술 인정
(상세 내용 새창 링크)

○[BioS]코어라인소프트, 美베일러의대에 'AI COPD' SW 공급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클루커스, 국내 AI 기업 말레이시아 공공시장 진출 지원 앞장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크래프톤, 日 광고회사 ADK 인수…게임-애니메 시너지 창출 모색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5 (수) 글로벌 ICT 일일동향> 지멘스, 3D IC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첨단 도구 출시 外]]> [글로벌/정책] 딥시크, 군사지원·수출통제 회피 혐의로 미국 당국 조사받아

미국 국무부 고위 관리가 지난 1월 24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DeepSeek)가 중국의 군사·정보 작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자사의 AI 모델이 미국 업계 선도기업들과 대등한 수준이라고 주장하며 주목받았으나, 중국 인민해방군(PLA, People's Liberation Army) 관련 조달 기록 150건 이상에서 발견되었으며, 베이징 당국의 감시 체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당국은 딥시크가 동남아시아 위장회사를 통해 수출이 제한된 엔비디아(NVIDIA) H100 칩과 원격 데이터센터에 접근을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의혹은 워싱턴에서 딥시크의 급속한 성장과 미국 기술 의존도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제기되었다. 한편 엔비디아는 미국의 수출 통제를 위반하는 기업을 지원하지 않으며, 현재 규제로 인해 중국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실질적으로 철수했다고 밝혔다.

출처 - Taipei Times, DeepSeek aids China’s military and evaded export controls, US official says, 2025년 06월 24일


[프랑스/시장] 프랑스 정부, 유텔샛 13억 5,000만 유로 유상증자로 지분 두 배 확대

유텔샛이 13억 5,000만 유로(약 2조 1,498억 원)의 대규모 자본 투입을 확보했다. 프랑스 정부는 7억 1,700만 유로(약 1조 1,417억 원)를 출자해 기존 13.6%에서 약 30%로 지분을 확대하며 최대 주주가 됐다. 인도의 바르티(Bharti)를 비롯한 다른 주주들의 출자금이 포함된 이번 투자는 유텔샛을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에 대항하는 유럽의 대안으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2023년 원웹(OneWeb)을 인수한 유텔샛은 현재 상업용 저궤도(LEO, Low Earth Orbit) 위성군을 운영 중인 전 세계 2개 기업 중 하나다. 유텔샛은 위성군 업그레이드와 유럽 우주 프로그램 '아이리스2'(Iris2)에 20억 유로(약 3조 1,848억 원)를 투자해야 하는 상황이며, 최근 프랑스 군에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10억 유로(약 1조 5,924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France to double Eutelsat stake through capital raise, 2025년 06월 23일


[글로벌/시장] 홍하이, 인도·미국 진출에 22억 달러 투자 승인 획득

대만 투자심의부(Department of Investment Review)가 홍하이정밀산업(Hon Hai Precision Industry)의 인도와 미국 투자 계획 총 22억 달러(약 2조 9,898억 원) 규모를 승인했다. 첫 번째 승인은 폭스콘테크놀로지그룹(Foxconn Technology Group)으로도 알려진 홍하이가 싱가포르 자회사를 통해 인도 유잔테크놀로지(Yuzhan Technology)에 14억 9,000만 달러(약 2조 249억  원)를 투자해 스마트폰 부품을 생산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미국에서 데이터센터 모듈 생산과 서버 조립을 위한 프로젝트 ETA(Project ETA)에 7억 3,500만 달러(약 9,988억 원)를 투자하는 계획이다.

홍하이의 이번 확장은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 중국 외 지역으로 생산기지를 다변화하려는 전략적 행보로, 특히 인도가 아이폰과 부품 제조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홍하이의 글로벌 사업장은 현재 24개국에 걸쳐 223개의 공장과 사무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미주 지역 54개, 유럽 12개, 인도 12개 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투자심의부는 캐세이유나이티드은행(Cathay United Bank)의 베트남 1억 6,000만 달러(약 2,174억  원) 투자와 AUO모빌리티솔루션(AUO Mobility Solution)의 중국 2,000만 달러(약 271억 원) 투자도 승인했다.

출처 - Taipei Times, Taiwan approves Hon Hai’s US$2.2 billion investment plans in India, US, 2025년 06월 25일


[글로벌/기술] 구글, 로봇 로컬 제어용 온디바이스 제미니 모델 출시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지난 3월 인터넷 연결 없이 로봇을 로컬 환경에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 모델 '제미니 로보틱스 온디바이스(Gemini Robotics On-Device)'를 공개했다. 클라우드 기반 이전 버전을 토대로 개발된 이 모델은 자연어 명령을 통해 로봇의 직접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며,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클라우드 기반 모델과 대등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알로하(Aloha) 로봇, 양팔형 프랑카 FR3(Franka FR3) 로봇, 앱트로닉(Apptronik)사의 아폴로(Apollo)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가방 지퍼 열기와 옷 접기 등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구글 딥마인드는 무조코(MuJoCo) 물리 시뮬레이터에서 50~100회의 시연을 통해 개발자들이 로봇에게 새로운 작업을 학습시킬 수 있는 제미니 로보틱스 SDK(Software Development Kit)도 함께 출시한다고 밝혔다.

출처 - Techcrunch, Google rolls out new Gemini model that can run on robots locally, 2025년 06월 24일


[독일/기술] 지멘스, 3D IC 디자인 최적화를 위한 첨단 도구 출시

지멘스 디지털산업소프트웨어(Siemens Digital Industries Software)가 고대역폭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2.5D 및 3D 집적회로 개발을 간소화하는 두 가지 신제품을 출시했다. 첫 번째 제품인 이노베이터3D IC(Innovater3D IC)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며, 500만 개 이상의 핀이 포함된 복잡한 프로젝트를 위한 디지털 트윈 생성 통합 플랫폼과 종합 분석 도구를 제공한다.

두 번째 제품인 캘리버 3D스트레스(Calibre 3DStress)는 다이 레벨 검증과 패키징 후 성능 간의 사양 변동 문제를 해결한다. 이 도구는 열기계적 응력의 정확한 트랜지스터 수준 분석 및 검증이 가능하여, 설계자들이 개발 초기 단계에서 패키징 영향을 평가할 수 있게 했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Siemens tackles IC design pain points, 2025년 06월 24일]]>
<![CDATA[[Weekly Issue][6월 4주] 글로벌 ICT 주간동향>미국 캘리포니아, AI 규제 정책 마련을 위한 신규 프레임워크 제시 外]]> (정책) 미국 캘리포니아, AI 규제 정책 마련을 위한 신규 프레임워크 제시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불투명한 운영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캘리포니아는 제3자 위험평가 의무화 등 독립적 감시 강화를 통해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려는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방정부는 주정부의 규제를 제한하려는 입장을 고수하며, AI 혁신과 경쟁력 유지를 명분으로 규제 완화 기조를 강화함에 따라 미국 내 AI 정책의 방향성을 둘러싼 구조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시장) 엔비디아, AI 스타트업 투자 전략과 시장 영향력 확대 현황
엔비디아(Nvidia)는 AI 스타트업에 대한 전방위적 투자와 핵심 기술 분야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글로벌 AI 시장 뿐 아니라 전체 ICT 산업의 구조적 재편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 자율주행, 클라우드 인프라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 축에 대한 영향력 확대는 글로벌 ICT 시장에서의 기술 표준과 산업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엔비디아의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기술) 구글(Google), 온디바이스 AI 로봇 모델 출시
제미니 로보틱스 온디바이스의 출시는 로봇 AI 기술이 클라우드 의존을 탈피하고, 실시간 응답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바탕으로 현장 중심의 독립적 작동이 가능해졌음을 의미한다.이는 다양한 로봇 플랫폼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과 미세 조정 기능을 통해, 산업·가정·원격 환경 등 복잡하고 연결이 제한된 실사용 조건에서도 로봇의 실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관찰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6. 24 (화)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뷰런테크놀로지 AI 플랫폼 ‘VueX’, AWS 타고 북미·유럽 공략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티맥스소프트, 신한DS와 동남아 사업 협력 확대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메가존클라우드, 사우디 진출…넥스트에라와 IT 플랫폼 구축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슈퍼로이어와 프로테제 손잡았다…로컬-글로벌 리걸테크 협력 본격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한국 AI, 日 복지 현장 누빈다…네이버클라우드, 이즈모시에 '케어콜' 공급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4 (화) 글로벌 ICT 일일동향> EU, 코인베이스에 암호화폐자산시장 라이선스 발급 外]]> [유럽/정책] EU, 코인베이스에 암호화폐자산시장 라이선스 발급 

코인베이스가 룩셈부르크 금융감독위원회(CSSF, Commission de Surveillance du Secteur Financier)로부터 암호화폐자산시장(MICA, Markets in Crypto Assets)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로써 코인베이스는 EU 전역 운영 승인을 받은 최초의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가 되었으며, 룩셈부르크의 선진적인 금융 허브 지위와 블록체인 관련 정책을 고려해 유럽 주요 허브를 아일랜드에서 룩셈부르크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전략적 이전은 지난해 말 EU 27개 회원국 전체에 통일된 법적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MICA 규정이 전면 시행된 이후 이루어졌다.

코인베이스는 더블린 사무소에 약 50개의 일자리를 추가하며 아일랜드에 대한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며, 다니엘 사이퍼트(Daniel Seifert) 코인베이스 EMEA 부사장 겸 지역총괄이사는 사업 운영을 감독하기 위해 룩셈부르크로 이전했다.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는 룩셈부르크의 기업 친화적 환경과 규제 접근 방식을 높이 평가하며 유럽의 암호화폐 미래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강조했다. 코인베이스는 이미 MICA 라이선스를 확보한 바이비트(Bybit), OKX, 비트고(BitGo) 등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들과 함께하게 되었으며, 경쟁사인 제미나이(Gemini)도 곧 몰타에서 인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CNBC (Tech), Coinbase secures EU crypto license, swaps Ireland for Luxembourg as main hub, 2025년 06월 20일


[글로벌/시장] 아마존, 스타링크와 경쟁하며 카이퍼 위성망 확장

아마존이 케이프 캐네버럴 우주군기지(Cape Canaveral Space Force Station)에서 카이퍼(Kuiper) 인터넷 위성 27기를 저궤도에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 United Launch Alliance)가 아틀라스 V(Atlas V) 로켓으로 진행한 이번 발사는 기상 조건과 로켓 부스터 문제로 초기 지연을 겪었으나, 이번 발사로 아마존의 궤도 내 카이퍼 위성은 총 54기로 늘어나며 3,236기 규모의 위성군 구축 계획이 한걸음 더 진전됐다.

6년 전 발표된 이 프로젝트로 아마존은 현재 8,000기의 위성을 운영하며 시장을 선도하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와 직접적인 경쟁 구도에 들어섰다. 아마존은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정한 2026년 7월까지 전체 계획의 절반인 1,618기의 위성을 배치해야 하는 시한을 맞추기 위해 경쟁사인 스페이스X를 포함한 여러 발사 업체와 80회 이상의 발사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 - CNBC (Tech), Amazon launches second batch of Kuiper internet satellites, taking on Elon Musk’s Starlink, 2025년 06월 23일


[대만/시장] 글로벌 반도체 수요 증가로 대만 클린룸 업체들 사상 최대 수주 기록

반도체 업체들이 전 세계적으로 생산 설비를 확장하면서 대만 클린룸 시스템 제조업체들이 전례 없는 수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TSMC의 주요 공급사인 유나이티드 인티그레이티드 서비스(UIS, United Integrated Services Co.)는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836억 8,000만 대만달러(약 3조 8,924억 원)의 클린룸 계약을 확보했는데, 이는 TSMC가 애리조나 칩 제조 공장에 650억 달러(약 89조 5,000억 원)를 투자한 데 크게 기인했다. L&K 엔지니어링(L&K Engineering Co.)도 올해 들어 5개월 동안 957억 6,000만 대만달러(약 4조 4,509억 원)의 신규 수주를 기록했으며, 이는 주로 동남아시아로 진출하는 대만 기업들로부터 발생했다.

업계의 견고한 성장세는 대규모 수주 잔고를 통해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UIS는 1,322억 7,000만 대만달러(약 6조 1,479억 원), L&K 엔지니어링은 2,084억 9,000만 대만달러(약 9조 6,906억 원)의 총 수주잔고를 보유하고 있다. 액터그룹(Acter Group Corp)과 양키엔지니어링(Yankey Engineering Co) 역시 안정적인 수요 증가의 수혜를 입어 각각 460억 대만달러(약 2조 1,381억 원)와 406억 7,000만 대만달러(약 1조 8,903억 원)의 수주를 확보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UMC의 싱가포르 신규 공장 건설과 뱅가드 인터내셔널(Vanguard International)이 NXP 세미컨덕터스(NXP Semiconductors)와 협력하여 2027년 생산 개시 예정인 12인치 팹 구축 등 다양한 확장 프로젝트에 힘입은 것이다.

출처 - Taipei Times, Clean room orders rise as overseas chip fabs expand, 2025년 06월 23일


[글로벌/시장] 타타테크놀로지스, 볼보자동차(Volvo Cars)와 엔지니어링 솔루션 파트너십 확대

타타테크놀로지스가 볼보자동차와 제품 엔지니어링,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시스템, 제품수명주기관리(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서비스 분야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이번 협력 확대로 타타테크놀로지스는 볼보자동차의 전기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플랫폼, 지능형 차량 내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핵심 엔지니어링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협약은 볼보자동차가 최근 에이치씨엘테크(HCLTech)와 체결한 파트너십에 이은 것으로, 자동차 제조사의 적극적인 디지털 전환 의지를 보여준다. 에이치씨엘테크는 기존의 디지털 및 PLM 서비스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종합 엔지니어링 솔루션 제공으로 역할을 확대하게 되며, 두 파트너십은 볼보자동차가 자동차 산업의 기술 혁신을 위해 인도 기술 전문성을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Volvo taps Tata Technologies in transformation drive, 2025년 06월 20일


[글로벌/기술] 구글, 크롬북 플러스에 첨단 AI 기능 탑재

구글이 크롬북 플러스(Chromebook Plus) 기기에 검색과 텍스트 캡처를 위한 화면 선택 도구, 텍스트 설명 도구, 노트북LM(NotebookLM) 등 AI 기반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구글 렌즈(Google Lens)와 유사하게 작동하는 새로운 화면 선택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런처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스크린샷 도구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일부 크롬북 플러스 모델에는 AI 이미지 생성과 글쓰기 도구에 접근할 수 있는 '퀵 인서트(Quick Insert)' 키를 탑재했다.

구글은 새로운 크롬북 플러스 사용자에게 연간 240달러(약 33만 원) 상당의 구글 AI 프로(Google AI Pro) 요금제를 1년간 무료로 제공하며, 이는 제미니(Gemini) 앱, 플로우(Flow) 비디오 편집기, 휘스크(Whisk) 이미지-비디오 변환 도구 이용권을 포함한다. 레노버(Lenovo)의 신형 크롬북 플러스 14는 OLED 터치스크린과 미디어텍 콤파니오 울트라(MediaTek Kompanio Ultra) 칩을 탑재했으며, 12GB RAM 모델은 649달러(약 89만 원), 16GB RAM 모델은 749달러(약 102만 원)에 판매된다.

출처 - Techcrunch, Google adds AI features to Chromebook Plus devices, 2025년 06월 23일]]>
<![CDATA[[6월 4주] 글로벌 ICT 해외입찰정보]]>
1. (베트남) 데이터 동기화 소프트웨어 유지 관리
2. (일본) 재무회계시스템 구축 및 유지관리 업무
3. (칠레) 마이프 자치구 가족 건강 센터를 위한 전자 등록 시스템
4. (브라질) 건강관리 관련 SaaS 웹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5. (프랑스) 타랑테즈 시아스 쾨르 정보 시스템 현대화
6. (스페인) 건강 및 관련 서비스의 메시징 서비스 제공
7. (남아프리카공화국)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및 관리형 탐지 및 대응(MDR) 서비스
8. (UAE) 인공지능 인프라 프로젝트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6. 23 (월)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기원테크 “국제 표준 이끌어낸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법인설립부터 상장까지…韓AI스타트업, 일본 진출 줄잇는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가장 혁신적인 디지털”…카카오뱅크, ‘Virtual Bank’로 첫 태국 진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이와이엘·엔트러스트, 금융보안 혁신 위한 파트너십 체결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GSK 딜 이후 빅파마가 먼저 연락…연내 추가 기술수출 기대"[바이오USA]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3 (월) 글로벌 ICT 일일동향> BBC, 퍼플렉시티AI와 무단 콘텐츠 사용 법적 분쟁 돌입 外]]> [영국/정책] BBC, 퍼플렉시티AI와 무단 콘텐츠 사용 법적 분쟁 돌입

영국방송공사(BBC,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가 퍼플렉시티AI의 아라빈드 스리니바스(Aravind Srinivas) 최고경영자에게 경고 서한을 발송하며 AI 훈련용 콘텐츠 보호를 위한 첫 법적 조치에 나섰다. BBC는 퍼플렉시티AI의 모델이 BBC 콘텐츠를 무단으로 활용해 훈련됐다는 증거를 확보했다고 밝히며, 금전적 보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모든 콘텐츠 스크래핑 활동을 중단하고 기존 복사본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퍼플렉시티AI는 BBC의 주장이 ""조작적이고 기회주의적""이라고 반박하며, BBC가 기술과 지적재산권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BBC는 퍼플렉시티AI의 도구가 자사 서비스와 직접 경쟁하며 콘텐츠를 그대로 복제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한편, 법정 손해배상 청구를 위해 미국 내 뉴스 웹사이트에 대한 저작권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 악셀 슈프링거(Axel Springer), 뉴스코퍼레이션(News Corporation) 등 주요 언론사들은 이미 오픈AI(OpenAI)와 메타(Meta) 등 AI 기업들과 콘텐츠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출처 - The Guardian, BBC threatens legal action against AI startup over content scraping, 2025년 06월 20일


[글로벌/시장] 소프트뱅크, TSMC와 애리조나에 조 달러 규모 AI 제조 허브 추진

손 마사요시(Masayoshi Son) 소프트뱅크그룹 창업자가 대만반도체제조사(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와 협력해 애리조나주에 AI 구동 로봇 중심의 선전형 제조 허브를 조성하는 대규모 산업단지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프로젝트 크리스탈 랜드'로 명명된 이 계획은 AI 구동 산업용 로봇 생산라인 개발을 통해 미국 내 첨단 제조업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소프트뱅크 관계자들은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 미 상무장관과 세제 혜택을 논의하고 삼성전자,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포트폴리오사인 아질 로봇(Agile Robots SE)과도 협의를 진행 중이다.

TSMC는 이미 미국 투자에 1,650억 달러(약 227조 2,875억  원)를 투입하고 애리조나 첫 시설에서 양산을 시작했으며, 소프트뱅크의 새로운 프로젝트가 기존 계획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은 미국 행정부와 주 정부의 지원에 크게 의존하며, 67세의 손 마사요시 회장은 AI 개발 가속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표명하며 초기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미국 전역에 첨단 산업단지를 추가로 설립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출처 - Taipei Times, Softbank pitches US$1 trillion US AI hub to TSMC, 2025년 06월 21일


[글로벌/시장] 테슬라, 중국 최대 규모 그리드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 수주

테슬라(Tesla)는 중국 최대 규모의 그리드 규모 배터리 발전소 건설을 위해 상하이 정부와 중국강푸국제리스(China Kangfu International Leasing)와 40억 위안(약 7,680억 원) 규모의 획기적인 계약을 체결했다. 테슬라는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Weibo)를 통해 상하이 공장에서 2024년 1/4분기에 이미 100개 이상의 메가팩(Megapack)을 생산했으며, 각 장치는 4시간 동안 1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미중 무역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성사됐으며, 2025년까지 배터리 기반 전력 공급을 40기가와트로 확대하려는 베이징의 목표와 맞닿아 있다. 그리드 규모의 배터리 설비는 도시 전력의 '스마트 조절기' 역할을 수행하며, 태양광과 풍력 등 간헐적 에너지원을 관리하면서 전력 수급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출처 - CNBC (Tech), Tesla inks first deal to build China’s largest grid-scale battery power plant, 2025년 06월 20일


[미국/시장] 메타, 업계 리더급 AI 인재 영입 본격화

메타(Meta)가 오픈AI(OpenAI)의 전 수석과학자 일랴 수츠케버(Ilya Sutskever)가 공동 설립한 320억 달러(약 44조 1,184억 원) 규모의 AI 스타트업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afe Superintelligence)' 인수를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현재 깃허브(GitHub)의 전 최고경영자 냇 프리드먼(Nat Friedman)과 함께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대니얼 그로스(Daniel Gross) 영입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로스와 프리드먼이 공동 설립한 벤처기업 NFDG의 지분 인수도 논의 중이다.

그로스와 프리드먼의 영입은 AI 연구소 운영과 투자 경험을 바탕으로 메타의 AI 초지능 연구소 역량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메타는 이미 이달 초 데이터 레이블링 스타트업 스케일AI(Scale AI)의 최고경영자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과 다수의 임원진을 영입하며 AI 인재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After trying to buy Ilya Sutskever’s $32B AI startup, Meta looks to hire its CEO, 2025년 06월 20일


[글로벌/기술] 메타-에실로룩소티카, AI 탑재 오클리(Oakley) 스마트 안경 출시

메타(Meta)와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가 레이밴(Ray-Ban) 브랜드를 넘어 첫 협업 제품인 오클리 메타 HSTN(Oakley Meta HSTN) 스마트 안경을 공개했다. 399달러(약 55만 원)부터 시작하는 이번 스마트 안경은 메타의 AI 어시스턴트와 오클리의 프리즘(Prizm) 렌즈 기술이 탑재되어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 운동선수들의 시야를 향상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 출시는 기존 레이밴 스마트 안경 협업의 성공을 기반으로 향후 프라다(Prada) 파트너십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골드 렌즈와 액센트가 적용된 한정판 모델은 오는 7월 11일부터 499달러(약 68만 원)에 사전 주문이 가능하며, 기본 모델은 올해 여름 후반에 출시될 예정이다.

출처 - CNBC (Tech), Meta, EssilorLuxottica unveil Oakley smart glasses, 2025년 06월 20일]]>
<![CDATA[미·중 무역전쟁 재점화-반도체 수출통제 및 유학생 비자 제한 조치의 함의]]>
  - 트럼프 대통령과 루비오 국무장관은“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연구자 및 고위험 전공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하고, 신규 신청에 대해 철저한 심사를 시행하겠다고 발표.


  - 현재 미국 내 대학에는 약 27만 5천 명 이상의 중국 국적 유학생이 재학 중인 것으로 집계. 미국 내 대학 및 연구기관에 이미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수천 명이 영향권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Smart Port Challenge 소개]]>  
  - (주최) PIER71(Port Innovation Ecosystem Reimagined 71) 주최
    * PIER71: MPA(Maritime and Port Authority, 싱가포르 항만청)과 NUS Enterprise (싱가포르국립대 창업 지원 기관)의 공동 이니셔티브

  - (목표) 해운·항만 업계의 실질 과제를 글로벌 스타트업과 업계 리더, 투자자간 협력 및 지속가능한 기술 혁신을 통해 해결

  - (대상)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혹은 스케일업 기업
    * Series A 이상 등 필수 조건 충족시 스케일업 기업으로 응모 가능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NIC·JICA,‘2025 베트남 AI 경제 보고서’공동 발표]]>
○ 2040년까지 베트남 AI 경제 규모 1,200억 달러에서 1,300억 달러까지 도달 전망
  - 소비 수요 증가에 따른 매출 확대(450억~550억 달러), 생산성 향상에 따른 수익 증가(600억~750억 달러) 포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베트남 에너지 산업에서의 ICT 활용 기회 확대]]>
 ○ 베트남전력공사(EVN)의 보고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전체 전력 생산 및 수입 구성은

  - △석탄 화력발전이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56.5%, △수력발전은 19.1%, △재생에너지(태양광 및 풍력)는 약 16%, △가스터빈 발전은 6.4%, △전력 수입은 1.8% 차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UAE ADNOC, 전 부문에 AI 시스템 도입…MEERAi 연내 전면 적용]]>  ○ (RTA와 AI) 두바이 메트로, AI 기반 로봇 점검 시스템 ARIIS 플랫폼으로 철도 선로와 주요 인프라를 자율적으로 점검 가능
  - 이는 두바이 메트로가 스마트기술을 운영에 통합함으로써 안전성, 효율성,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일환으로, 두바이의 스마트시티 목표와도 일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인도, 올해 전세계 디스플레이 매출의 9% 차지]]>   - 출처 : 디일렉(http://www.thelec.kr)

○ (주요 내용) 

  -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는 9일(현지시간) '2025년 1분기 FPD(Flat Panel Display) 전망' 보고서에서 ""인도의 디스플레이 매출은 올해 117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인도 ICT 시장동향 2025]]> 1. 국가 개황
2. ICT  정부 기관
3. ICT  주요 정책
4. ICT  주요 법령 및 규제
5. ICT  주요 기업
6. 한국 협력 및 국내기업 진출 사례

Ⅱ  ICT  주요 동향 
1.  인터넷서비스
2. 인공지능
3. e러닝
4. 헬스케어
5. 핀테크

Ⅲ 스타트업  생태계
1.  제프토(Zepto)
2. 포켓 에프엠(Pocket FM)
3. 피직스 왈라(Physics Wallah)
4. 헬스카트(HealthKart)
5. 미쇼(Meesho)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캐나다 ICT 시장동향 2025]]> 1. 국가 개황
2. ICT  정부 기관
3. ICT  주요 정책
4. ICT  주요 법령 및 규제
5. ICT  주요 기업
6. 한국 협력 및 국내기업 진출 사례

Ⅱ  ICT  주요 동향
1. 인공지능
2. 기업용 솔루션
3. 핀테크
4. 에듀테크
5. 헬스케어

Ⅲ 스타트업  생태계
1. 코히어(Cohere)
2. 이센타이어(eSentire)
3. 자나두(Xanadu)
4. 어센트(Assent)
5. 악셀라(Axelar)]]>
<![CDATA[2025. 6. 20 (금)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밸런스히어로, AI 대안신용평가시스템 특허 등록 ··· 인도 핀테크 시장 주도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엑스플라, 글로벌 결제 서비스 ‘알케미 페이’와 파트너십
(상세 내용 새창 링크)

○[BioS]GC지놈, ‘AI 다중암 조기진단’ 핵심기술 日 특허등록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대한전선, 아일랜드 기업과 '차세대 초전도 케이블' 개발 협력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카카오뱅크, 태국 가상은행 인가 획득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20 (금) 글로벌 ICT 일일동향 > 미국 캘리포니아, AI 규제·감독 새 프레임워크 제안 外]]> [미국/정책] 미국 캘리포니아, AI 규제·감독 새 프레임워크 제안

개빈 뉴섬(Gavin Newsom)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지난해 9월 상원 법안 1047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이후, 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카네기국제평화재단(Carnegie Endowment), UC버클리(UC Berkeley)의  인공지능(AI) 연구진이 공동으로 '캘리포니아 국경 정책 보고서(California Report on Frontier Policy)'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AI 모델의 투명성 강화와 독립적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뉴섬 주지사의 거부권 행사 이후 연쇄추론(chain-of-thought reasoning) 등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했음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내부고발자 보호제도, 세이프하버(Safe Harbor) 조항을 포함한 제3자 평가, 공공정보 직접 공유 등 AI 감독 체계의 전면적인 개편을 촉구했다. 연구진은 데이터 수집, 안전 프로세스, 잠재적 파급효과 등 핵심 영역에서 나타나는 '시스템적 불투명성'을 지적하며, 개발사 단독으로는 기술의 위험성과 피해를 완전히 파악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출처 - TheVerge, California is trying to regulate its AI giants — again, 2025년 05월 08일


[인도네시아/시장] 데이터센터 공급업체 에드그넥스, 자카르타 데이터센터에 23억 달러 투자

두바이 소재 다맥그룹(Damac Group)의 자회사인 에드그넥스(Edgnex)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대규모 데이터센터 개발을 위해 23억 달러(약 3조 1,485억 원)를 투자할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3월 부지 매입 이후 착공에 들어간 이 시설은 144메가와트 용량을 갖추고 고밀도 인공지능(AI) 서버 랙을 설치해 2026년 12월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며,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중심 개발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투자는 에드그넥스가 자카르타에서 현재 건설 중인 19.2메가와트 규모의 시설에 이은 두 번째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다. 메우티아 하피드(Meutya Hafid) 통신·디지털부 장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데이터센터 부문은 지난 2년간 66%의 용량 증가를 기록했으며, 에드그넥스는 말레이시아와 태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에 30억 달러(약 4조 1,052억 원)를 투자해 300메가와트 이상의 데이터센터 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출처 - Asia Nikkei, Dubai-based Edgnex invests $2.3bn in Indonesian data centerm, 2025년 06월 18일


[미국/시장] 엔비디아, AI 스타트업 투자 전략 대폭 강화

엔비디아(Nvidia)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2024년 AI 기업 자금 조달 라운드 49건에 참여했는데, 이는 2023년 34건과 이전 4년간 총 38건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엔비디아의 투자 포트폴리오에는 오픈AI(OpenAI)의 66억 달러(약 9조 327 원) 투자 라운드에 1억 달러(약 1,368억 원)를 출자하고, XAI의 60억 달러(약 8조 2,120 원) 자금 조달 라운드에 참여했으며, 인플렉션(Inflection)의 13억 달러(약 1조 7,792 원) 투자와 스케일AI(Scale AI)의 기업가치 140억 달러(약 19조 1,615억 원) 평가를 받은 10억 달러(약 1조 3,686억 원) 투자 라운드에도 참여했다.

엔비디아는 자율주행 기업 웨이브(Wayve),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크루소(Crusoe), 피겨AI(Figure AI) 등 다양한 AI 분야 기업들에 상당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공식 기업벤처캐피털 펀드인 엔벤처스(NVentures)를 통해 투자 활동을 더욱 확대하여 2022년 2건에서 2024년 24건으로 거래를 늘렸으며, 2025년에는 이미 7건의 신규 투자에 참여하며 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게임체인저와 시장 선도 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Nvidia’s AI empire: A look at its top startup investments, 2025년 06월 19일


[대만/시장] 대만 위스트론, 신추 신설 시설로 AI 서버 생산 확대

위스트론(Wistron)이 신추현 주베이시에 신규 AI파크를 설립해 글로벌 최대 AI 서버 생산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 시설은 주력 고객사인 엔비디아(NVIDIA)를 위한 차세대 AI 서버 제조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현재 위스트론은 대만 내 후커우 타운십과 신추과학단지(Hsinchu Science Park)에 2개의 AI 서버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1~2년 내 주베이 신규 시설이 완전 가동되면 대만 내 AI 서버 생산능력이 2배로 증가할 전망이다.

위스트론은 전 세계적으로 최대 10개의 AI 서버 공장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7개 시설에서 블랙웰(Blackwell) 그래픽 처리 장치를 탑재한 컴퓨터를 분기당 24만 대 생산하고 있다. 위스트론은 내년 5월까지 안정적인 수주를 확보했으며 하반기 실적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 또한 텍사스주 댈러스에 신규 공장 건설을 승인했으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나, 미국의 관세 정책과 최근 대만 달러 강세로 인한 운영비용 상승이 우려되고 있다.

출처 - Taipei Times, Wistron AI park to build next-generation servers, 2025년 06월 20일


[일본/기술] 혼다, 헬름닷에이아이와 자율주행차용 첨단 비전 시스템 출시

혼다자동차가 투자한 스타트업 헬름닷에아이(Helm.ai)가 자율주행차의 도시환경 해석을 위한 카메라 기반 시스템 '헬름아이 비전'을 공개했다. 헬름아이는 혼다와 협력해 이 기술을 2026년 출시 예정인 혼다 제로(Honda Zero) 시리즈 전기차에 탑재하여 핸즈프리 주행 기능을 구현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다중 카메라 피드를 결합해 차량 계획 및 제어 시스템을 향상시키는 조감도 지도를 생성한다.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둔 헬름아이는 테슬라(Tesla)와 유사하게 비전 중심 접근법을 채택해, 라이다(LiDAR)와 레이더 등 추가 센서 대신 카메라 기반 시스템에 주력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 이 시스템은 엔비디아(NVIDIA)와 퀄컴(Qualcomm) 등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에 최적화되어 자동차 제조사들의 기존 차량 시스템 통합을 용이하게 했다. 현재까지 1억 200만 달러(약 1,395억 원)를 조달한 헬름아이는 굿이어벤처스(Goodyear Ventures)와 성우하이텍을 주요 투자자로 두고 있다.

출처 - Reuters, Honda-backed Helm.ai unveils vision system for self-driving cars, 2025년 06월 19일]]>
<![CDATA[2025. 6. 19 (목)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BioS]SK바이오팜, 피닉스랩과 'AI기반 신약개발' MOU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크래프톤, 지오··펩시코 등 대기업과 인도 현지 파트너십 강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코타바이오, 휴런과 뇌질환 솔루션 해외 유통판매 계약 체결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명지전문대학-넥스트 브릿지, 중남미 6개국과 디지털 협력 논의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라온피플, 태국 ‘AI 수해탐지’ 프로젝트 기술 검증 완료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19 (목) 글로벌 ICT 일일동향> 중국 비트코인 채굴장비 제조사들, 미국 내 생산기지 확대 外]]> [미국/정책] 미국 대통령, 틱톡 매각 기한 연장 추진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바이트댄스(ByteDance)의 틱톡(TikTok) 미국 사업부 매각 기한을 6월 19일에서 90일 추가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백악관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의 정상 운영을 유지하면서도 미국 사용자들의 데이터 보안을 위해 성공적인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한 연장은 중국 정부의 승인이 필요한 복잡한 협상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Xi Jinping) 국가주석의 최종 승인을 얻을 수 있다는 확신을 표명했다. 미국 기업이 다수 지분을 보유하는 미국 법인 설립을 위한 이전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상품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중국 측의 반대로 중단된 바 있으며,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기한 연장 법적 권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출처 -Reuters, Trump to extend TikTok sale deadline for third time, White House says, 2025년 06월 18일


[미국/시장]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미국 반도체 제조에 600억 달러 투자 단행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Texas Instruments)가 1월 17일 미국 반도체 제조 역사상 최대 규모인 600억 달러(약 82조 6,44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애플(Apple), 엔비디아(NVIDIA), 포드(Ford) 등 주요 기술·자동차 기업들과 협력 중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는 텍사스주와 유타주에 7개의 반도체 제조공장을 설립해 6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기술 우위를 유지하고 국내 제조 능력을 강화하려는 백악관의 전략과 맥을 같이한다.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 미국 상무장관은 미국 내 반도체 제조업 확대가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하며, 이번 파트너십이 향후 수십 년간 미국의 반도체 제조업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 CNN, Texas Instruments to invest more than $60 billion to make semiconductors in the US, 2025년 06월 18일


[글로벌/시장] 중국 비트코인 채굴장비 제조사들, 미국 내 생산기지 확대

세계 비트코인 채굴기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3대 제조사 비트메인(Bitmain), 캐나안(Canaan), 마이크로비티(MicroBT)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미국 내 제조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비트메인이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생산을 시작했으며, 캐나안은 시범 생산에 착수했고, 마이크로비티는 현지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전환은 복잡한 미중 관계 속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 기업 오라딘(Auradine)이 하드웨어 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국산 제품 수입 제한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현재 대부분 국가의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추가로 2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제조사들의 조립 공장이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관세 인상도 검토 중이다.

출처 - Reuters, Dominant Chinese makers of bitcoin mining machines set up US production to beat tariffs, 2025년 6월 18일


[인도/기술] 구글, 인도 하이데라바드에 아태지역 첫 안전공학센터 설립

구글이 인도 하이데라바드에 구글안전공학센터(GSEC, Google Safety Engineering Centre)를 설립하여 전 세계 네 번째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의 시설을 마련했다. 아누물라 레반트 레디(Anumula Revanth Reddy) 텔랑가나 주총리와 스리다르 바부(D. Sridhar Babu) IT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개소한 이 센터는 인도의 디지털 환경에서 AI 안전성, 사이버보안, 사용자 보호를 강화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프라이버시, 보안공학, 사이버보안 역량을 갖춘 전문가들이 모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전 솔루션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구글은 사기 탐지를 위한 제미니 나노(Gemini Nano), AI 생성 콘텐츠 워터마킹을 위한 신스ID(SynthID), 강화된 위협 모니터링 등 첨단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며, IIT-마드라스(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와 함께 포스트 퀀텀 암호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프리티 로바나(Preeti Lobana) 구글 인도 총괄은 디지털 생태계 신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출처 - Gadgets Now, Google inaugurates first Asia-Pacific safety engineering centre in Hyderabad, 2025년 06월 18일


[미국/기술] 하버드대학교, AI 학습용 방대한 역사서적 컬렉션 공개

하버드대학교가 AI 연구진을 위해 15세기부터 수집된 254개 언어로 된 3억 9,400만 페이지 분량의 약 100만 권 규모의 데이터셋을 공개했다. '인스티튜셔널 북스 1.0(Institutional Books 1.0)'으로 명명된 이 컬렉션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오픈AI(OpenAI)의 무제한 지원을 받아 허깅페이스(Hugging Face) 플랫폼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약 2,420억 개의 토큰으로 구성된 이 컬렉션은 19세기의 문학, 철학, 법학, 농업 분야 작품들이 주를 이룬다. 현재 다른 기관들도 유사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오픈AI는 옥스퍼드대학교 보들리안 도서관(Bodleian Library) 등 연구기관에 5,000만 달러(약 688억 7,000만 원)를 기부했고, 보스턴공공도서관(Boston Public Library)은 역사적 신문과 문서의 디지털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 - japan today, AI chatbots need more books to learn from. These libraries are opening their stacks, 2025년 06월 18일]]>
<![CDATA[2025. 6. 18 (수)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펨트론, 미국 반도체 M사에 장비 공급…HBM 검사장비도 기대감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바이오USA] 최경은 에스티젠바이오 대표 "글로벌 CMO 시장 공략 본격화…올해 큰 폭 성장하겠다"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이브이시스, 'K-충전 기술'로 美·日 진출…글로벌 공략 박차
(상세 내용 새창 링크)

○토큰아시아코리아, 인도네시아 ‘아리산’ 혁신한 투자플랫폼 ‘톡시아’ 6월말 현지출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대동·TYM, “믿을 곳은 바다 건너”…해외 공략 속도
(상세 내용 새창 링크)]]>
<![CDATA[2025. 6. 18 (수) 글로벌 ICT 일일동향> 라틴아메리카 12개국, 지역 AI 언어모델 공동 개발 착수 外]]> [미국/정책] 미국 상원, 초당적 지지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통과

미국 상원이 스테이블코인 규제 프레임워크를 수립하는 '제니우스 법안'(GENIUS Act)을 68대 30이라는 높은 초당적 지지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에게 미국 달러와 단기 국채 등 유동성 자산 보유를 의무화하고, 매월 보유 자산 구성 내역을 공시하도록 규정했다. 디지털 자산 업계는 명확한 규제 지침을 위해 적극적으로 로비활동을 펼쳐왔으며, 최근 선거에서 친암호화폐 의원 후보들을 위해 1억 1,900만 달러(약 1,637억 원)를 지원했다.

해당 법안이 최종 법제화되기까지는 공화당이 다수당인 하원 통과와 금융안정성 리스크 관련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수정 등 여러 난관이 남아있다. 엘리자베스 워런(Elizabeth Warren) 상원의원을 비롯한 비판론자들은 특히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의 개인 암호화폐 사업과 관련하여 이 법안이 국가안보, 금융안정성, 소비자보호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주립은행감독관협의회(Conference of State Bank Supervisors)도 무보험 은행의 자금 이체 활동 감독에 관한 중요한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출처 - Reuters, US Senate passes stablecoin bill in milestone for crypto industry, 2025년 6월 18일


[글로벌/시장] 텐센트, 위챗(WeChat)과 게이밍 전문성 활용해 유럽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텐센트가 중국의 게임·소셜미디어 거대 기업으로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유럽으로 확장하고 있다. 퉁다우손(Dowson Tong) 텐센트 클라우드그룹 최고경영자는 위챗(WeChat)을 통해 개발한 독보적인 기술 역량을 유럽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텐센트의 전문성은 비디오 스트리밍 최적화, 게임 경험 향상, 슈퍼앱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이는 오렌지(Orange)와의 아프리카 협력에서도 입증된 바 있다.

현재 아마존(Amazon),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구글(Google) 등 미국 기술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유럽 클라우드 시장에서 텐센트는 자사의 핵심 강점에 집중해 전문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텐센트는 고객들이 다른 공급업체와 함께 텐센트의 기술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강조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역량과 관련해서는 자체 훈위안(Hunyuan) 모델과 유럽 모델 중 선택할 수 있는 유연한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고객 맞춤형 도구 개발과 비용 효율성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출처 - CNBC (Tech), Tencent bets its China WeChat and gaming expertise will help it win cloud business in Europe, 2025년 06월 17일


[미국/시장] 오픈AI, 미국 국방부와 2억 달러 규모 AI 통합 계약 체결

오픈AI가 미국 국방부(DoD, Department of Defense)와 다양한 행정 기능에 AI 도구를 구현하는 2억 달러(약 2,752억 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오픈AI는 공무원에게 AI 전문 지식을 제공하고 공공 이익을 위한 정부 기술 배치를 지원하는 '오픈AI 포 거버먼트(OpenAI for Government)' 이니셔티브를 출범했으며, 국방부 최고디지털인공지능실(Chief Digital and Artificial Intelligence Office)과의 첫 파트너십을 통해 관료주의 절차와 서류 작업을 줄이면서 정부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이니셔티브는 군인과 군인 가족의 의료 접근성 개선, 프로그램 및 데이터 획득 간소화, 사전 예방적 사이버 방어 강화 등 핵심 분야에 집중할 예정이다. 오픈AI는 정부 직원을 위한 특화형 챗지피티(ChatGPT) 버전과 미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공군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와의 협업을 포함한 기존 정부 프로젝트를 통합하며, 연방·주·지방 정부에 고급 챗지피티 모델과 맞춤형 국가 보안 설정, 실무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출처 - Mobile World Live, OpenAI seals $200M US government contract, 2025년 06월 17일


[글로벌/기술] 인도 구글, AI 보안 운영 확대 위한 안전헌장 발표

구글이 미국 외 최대 시장인 인도에서 안전헌장을 공개하고 디지털 사기 퇴치를 위한 AI 기반 보안 이니셔티브를 대폭 확대했다. 구글은 더블린, 뮌헨, 말라가의 기존 센터에 이어 인도에 네 번째 구글 보안 엔지니어링 센터(GSEC, Google Security Engineering Center)를 설립하고, 정부와 학계, 기업 등 현지 이해관계자들과 협력을 강화한다. 지난해 인도의 통합결제인터페이스(UPI) 관련 사기가 전년 대비 85% 증가해 110억 루피(약 1,753억 원)에 달했으며, 디지털 체포 사기와 약탈적 대출 앱 사례도 급증했다.

GSEC는 온라인 사기 예방, 기업·인프라 사이버보안, 책임있는 AI 개발 등 3대 핵심 분야에 집중할 예정이다. 구글의 기존 AI 기반 보안 대책은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데, 구글 메시지(Google Messages)는 매월 5억 건 이상의 의심스러운 메시지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있으며, 플레이 프로텍트(Play Protect)는 1,300만 대의 기기에서 약 6,000만 건의 고위험 앱 설치 시도를 차단했다. 또한 구글은 인도 내무부 산하 사이버범죄조정센터(I4C, Indian Cyber Crime Coordination Centre)와 협력하여 사이버범죄 인식 제고에 힘쓰고 있으며, 온라인 사기 식별 프로그램인 디지카바치(DigiKavach)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출처 - Techcrunch, Google to scale up AI-powered fraud detection and security operations in India, 2025년 06월 17일


[글로벌/기술] 라틴아메리카 12개국, 지역 AI 언어모델 공동 개발 착수

라틴아메리카 12개국이 오는 9월 출시를 목표로 역내 최초의 인공지능 종합언어모델인 '라탐-GPT(Latam-GPT)'를 공동 개발하고 있다. 칠레 국립인공지능센터(CENIA, National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가 주도하는 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는 30여 개 지역 기관이 참여하며, 라틴아메리카 전역의 문화와 언어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는 AI 기술 민주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라마3(Llama 3) 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라탐-GPT는 중남미개발은행(CAF, Development Bank of Latin America)과 아마존 웹서비스(AWS, Amazon Web Services)의 지원을 받아 칠레 타라파카대학교(University of Tarapaca) 등 지역 컴퓨팅 시설과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개발되고 있다. 이미 부활절 섬의 라파누이어(Rapa Nui) 번역기를 개발했으며, 교육 및 공공 서비스 분야 적용을 위해 다른 원주민 언어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출처 - Reuters, Latin American countries to launch own AI model in September, 2025년 6월 18일]]>
<![CDATA[[Weekly Issue][6월 3주] 글로벌 ICT 주간동향>유럽의 ‘소버린 AI’ 개발 추진 현황과 전략적 의의 外]]> (정책) 유럽의 ‘소버린 AI’ 개발 추진 현황과 전략적 의의
유럽의 AI 주권 확보 노력은 미국 기술 기업들의 압도적인 자본력과 기술적 우위 속에서도 자체 생태계 구축을 통해 디지털 자주권을 강화하려는 시도로, 향후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에서 제3의 축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협력이 불가피한 현실에서, 유럽이 진정한 AI 자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역내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막대한 자본 투자가 필요하며, 이는 단기적 성과보다 장기적인 기술 개발 전략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시장) 마이크론, 트럼프 행정부 지원 下 미국 반도체 주권 확보 위한 투자 확대 
마이크론의 투자 확대는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자급화 정책이 실질적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특히 AI 데이터센터의 핵심 부품인 HBM 생산 역량 확보를 통해 미국의 기술 주권과 국가 안보를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또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지정학적 기술 경쟁 구도에서 향후 한국, 대만 등 반도체 강국들과의 협력 및 경쟁 관계에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 구글, ‘안전헌장’(Safety Charter)을 통한 AI 기반 디지털 사기 대응 기술 강화
구글(Google)의 인도 ‘안전헌장’(Safety Charter) 발표는 세계 2위 규모의 디지털 시장에서 사기 방지를 위한 AI 기반 보안 솔루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급증하는 디지털 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국가들도 유사한 통합 보안 전략을 구축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정부 기관과 기업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사이버 보안 역량 강화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사기 수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국가 차원의 디지털 보안 인프라 구축과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가 요구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DATA[[6월 3주] 글로벌 ICT 해외입찰정보]]>

1. (대만) 빅데이터 플랫폼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유지관리
2. (중국) 중국재보험 네트워크 보안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제품 유지보수 서비스 프로젝트(2025~2026년) - 입찰 공고
3. (미국) 포괄적인 법률 소프트웨어 솔루션
4. (캐나다) 환경 데이터 관리 솔루션
5. (영국) 대기 질: 데이터 관리
6. (독일) ERP 시스템 리뉴얼
7. (나이지리아) 컴퓨터화 및 ICT 인프라 개발: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 주변 장치 및 액세서리의 공급 및 설치
8. (사우디아라비아) 신센터 본사 정보기술 솔루션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CDATA[2025. 6. 17 (화) 국내 ICT 기업 해외진출 일일동향]]> ○“내수 한계 넘는다”… 日·동남아·중동 공략하는 K 보안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보스턴으로 향하는 K-제약바이오…"기술이전·수주 타진"
(상세 내용 새창 링크)

○KCC, 동남아 공략 본격화…기술 세미나로 현지 입지 강화
(상세 내용 새창 링크)

○라인스튜디오 '라인 매치 플라이트', 일본·대만·홍콩 등 정식 출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이뱅스, 한국 게임업체 라틴 아메리카 진출 교두보로
(상세 내용 새창 링크)
 

]]>